Page 109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109

발을 위해 여러 기관에 무상보조 예산을              증거기반 에듀테크, 기회와 도전
                     제공하고 있다. 이런 정책들은 에듀테크              증거기반 에듀테크는 『언택트 교육의 미
 증거기반 에듀테크           기업들로 하여금 양적 성장 중심에서 엄              래(Failure to Disrupt)』의 저자인 저스틴

                     격한 연구와 검증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              라이시(Justin Reich)가 주창하는 기술의
                     다는 것을 주지시키고 있다.                    교육 적용단계에서 항상 반복되어온 기
                                                        대와 실망의 사슬을 끊을 수 있는 유일
                     실증·증거기반 그리고 인증                     한 방법이다.
                     증거기반(Evidence-Based)은 실증과 증        증거기반 에듀테크 생태계를 통해 교육
                     거의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실증은 현              자들은 제품 개선을 촉진하고 학생의 학
                     장에서 사용해본 경험에 집중하고, 통               습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교사로서
                     제된 계획하에 해당 분야 전문성을 가진              본연의 역할을 보다 잘 해낼 수 있도록
                     집단에 의한 관찰이나 실증적으로 검증               도와주는 좋은 도구를 가질 수 있다. 그
                     되는 과정을 거친다. 반면 증거는 형성              뿐 아니라 에듀테크 기업들은 검증된 교
                     적이라기보단 총괄적이다. 불특정다수                육적 영향력(Educational Impact) 지표
                     의 경험이나 다양한 의견 등이 모두 증              를 기반으로 사업-서비스 전략을 수립
                     거로 수집될 수 있으며 통계적 방법, 정             할 수 있고, 증거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
                     성적 분석을 통한 비통계적 방법까지 포              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통해 제품을
                     괄한다. 실증은 특정 집단이 평가준거               개선-확장할 수 있다. 또한, 연구자들은
                     기반 경험결과를 공유하는 것으로 단기               각자의 전문성을 활용해서 현장에 도움
                     간에 평가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평가단              이 되는 실용성 중심 연구 기회를 확장
                     의 역량이 중요하다. 반면 증거는 불특              할 수 있다.
                     정다수(이해관계자 집단)가 경험한 다양              그러나 이렇게 에듀테크가 교육에 긍정
                     한 결과를 공유하는 것으로 무엇보다 시              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의 중요성
                     간이 오래 소요된다.                        에 관한 이견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인증(Certificate)은 어떤 문서나 행위가        자-연구자-기업-정책입안자 간 협력
                     정당한 절차로 이뤄졌다는 것을 신뢰도               의 복잡성 때문에 에듀테크 증거가 오랫
                     높은 기관이 증명해주는 것이다. 에듀테              동안 소홀히 다뤄져 왔다. 또한, 체계적
                     크 인증은 학교 현장의 선택권을 강화하              인 가이드라인과 감독 없이 개별교사의
                     고 산업 측면에서는 양질의 에듀테크 도              사용성 평가 위주로 진행해왔던 것이 사
                     구들이 개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              실이다.
                     을 한다. 오롯이 평가자의 전문성에 기
                     댄 평가에서 나아가 객관적인 데이터를               각국의 증거기반 에듀테크 생태계를 향
                     기반으로 하는 인증체계 도입은 에듀테               한 노력
                     크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에듀테크를 둘러


                                                                        DECEMBER HRD  107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