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7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107

장맞춤형 체계적지원사업 등 다양한 직               작한 초년이며, 앞으로 생성형 인공지능
                     업훈련 및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관             은 모든 근로자의 업무 능률 향상에 크
                     련해선 HRD-net(www.hrd.go.kr)과        게 기여할 것이다. 그러니 디지털 리터
                     HRD4U(www.hrd4u.or.kr)에서 자세한       러시를 넘어 ‘AI 리터러시’ 교육이 공교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육은 물론 직업훈련과정에서도 중요하
                     이상과 같이 디지털 전환 또는 산업구조              게 다뤄질 필요가 있다. 또한, 생성형 인
                     전환에 대응하는 정부의 인적자원개발                공지능을 잘 활용하기 위한 차원에서 일
                     정책과 주요 사업들에 대해 간략히 살펴              반문해력(문장이해력, 표현력 등), 도메
                     봤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전환 시대의               인 날리지(domain knowledge), 비판적·
                     인적자원개발 방향에 대해 3가지를 제시              분석적 사고력,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
                     하며 글을 마치고자 한다.                     해와 판단력 등도 중요해질 것이다.
                     첫째, 디지털 전환은 사회구성원 모두의              셋째, 근로자들은 디지털 전환이라는 사
                     디지털 역량을 높이는 방향으로 추진돼               회적 변화/트렌드를 이해하고, 그것에
                     야 한다. 디지털 전환의 특징 중 하나가             대응할 준비를 해야 한다. 정부는 물론
                     ‘초연결(Hyper-Connected)’이듯 사회구       기업들도 도메인 날리지로 무장한 종업
                     성원 모두가 디지털 역량 또는 디지털               원이 디지털 역량을 갖췄을 때 비로소
                     리터러시(literacy, 문해력)를 갖췄을 때,        비즈니스 혁신을 이끌어나갈 수 있음을
                     경제산업 부문을 포함한 사회 전반이 비              인식하고, 종업원들의 디지털 역량 향상
                     로소 디지털 융합 또는 디지털 혁신이라              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물론,
                     는 반석盤石 위에 놓이게 될 것이다.               디지털 전환기 속에 존재하는 기회를 포
                     둘째, 올해는 ChatGPT로 대표되는 생            착해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경영
                     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가 우리             진과 조직 내 각 집단에 대한 교육도 같
                     의 일상생활에 본격적으로 들어오기 시               이 이뤄져야 한다.



                       [참고 자료]
                       김동규(2023), ‘산업·일자리 전환의 의의와 정책 과제’, 「지역산업과 고용」, 2023 vol.7. 한국고용정보원.
                       WEF(2023), 「The Future of Jobs Report 2023」.







                                 김동규 연구위원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한국직업자격학회 이사 등으로 활동 중이며 직업훈련, 직업자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등 국가인적자원개발 정책과 관련한 각종 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미래 직무
                                 및 역량 변화, 직업분류 등에 관한 연구 및 강의에 매진하고 있다.

                                                                        DECEMBER HRD  105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