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6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106

PROFESSION TREND





                 개 산업 분야 재직자 대상(2022년-2027          닝 훈련과정’을 제공할 예정이다. 관련
                 년, 총 4만 3,500명 목표) 데이터 이용          해서 ‘K-디지털 트레이닝 하반기 훈련
                 및 AI 활용 교육을 실시하고, 산업통상             과정 공모 결과 발표’를 보면 업종별 선
                 자원부는 산업현장 재(퇴)직 기술인력에              도기업이 직접 훈련과정을 운영하는 ‘디
                 수준·분야별 AI 기술 융합 교육을 제              지털 선도기업 아카데미’에는 현대자동
                 공한다(2026년까지 총 1만 2,750명 목          차, 엔비디아, GS ITM, 세일즈포스,
                 표). 그리고 고용노동부는 전통산업 재              KG ICT, 다쏘시스템, 한화시스템 등이
                 직자 대상 SW·AI 등 디지털 역량 강             참여한다. 그리고 디지털 역량 부족으로
                 화 훈련을 확대하며, 중소벤처기업부는               취업 또는 업무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스마트공장 도입·공급 기업의 재직자                구직자 및 재직자에게는 코딩, 빅데이
                 대상 디지털 선도인력 양성 교육(연간               터, ChatGPT 등 디지털·신기술 분야
                 13,000명)을 실시한다. 셋째, 일상에서           의 초·중급 수준 훈련과정인 ‘K-디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인재 양성이다.              털 기초역량훈련’(2023년 기준 총 41개
                 K-MOOC(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등             기관, 228개 과정)을 제공한다. 또한, 고
                 을 통해 대학 수준의 SW 등 디지털 교             용노동부는 디지털 분야 외에 첨단 신기
                 양과정을 확대하는 동시에 맞춤형 원격               술 분야에 대한 인력 수요에 적시 대응
                 교육 등을 통해 디지털 학습에의 접근성              하기 위한 사업들도 실시한다. 살펴보면
                 을 높인다. 그리고 디지털 융합훈련시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업을 통해 신소재
                 설(K-Digital Platform)을 통해 지역에      개발 및 제조, 친환경·고기능 도료 코
                 있는 청년들을 비롯한 많은 사람이 쉽               팅, 바이오의약품 생산 및 품질 관리, 디
                 게 디지털 교육을 접하도록 한다. 넷째,             스플레이 생산 및 품질 관리, 이차전지
                 교양 차원의 디지털 이해 제고다. 유·              생산 및 품질 관리 등 최근 인력 수요가
                 초·중등 대상 SW·AI 교육을 확대하              급증하고 있는 첨단 신기술 분야 직업훈
                 고,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성인 기초             련을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현대자동
                 디지털 문해교육은 물론 농어촌지역의                차와 협력하여 ‘친환경 자동차 정비인력
                 학생, 장애학생, 경력단절여성 등을 대              양성과정’을 올해 10월 호남직업전문학
                 상으로 디지털 교육 기회를 확대한다.               교에 개설했으며 다른 지역으로도 점차
                 특히, 고용노동부는 구직자/재직자 대               확대할 예정이다.
                 상 디지털 분야 산업인재 육성에 힘을               그 외에 고용노동부는 한국산업인력공
                 쏟고 있는데 디지털 실무인재 양성을 위              단과 함께 중소기업의 HRD 역량 강화
                 해 55,076명(2023년 기준)에게 디지털          와 근로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사
                 컨버전스, AI 활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업주직업능력개발훈련, 국가인적자원개
                 응용, 클라우드 운영 관리 등의 훈련직              발 컨소시엄, 기업직업훈련카드, 산업구
                 종에서 총 631개의 ‘K-디지털 트레이             조변화대응 특화훈련, 일학습병행, 현


                 104  HRD MAGAZINE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