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4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104
PROFESSION TREND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인적자원개발 방향
글_김동규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필자는 두 차례에 걸쳐 디지털 전환에 따른 직업세계 변화를 일자리 구조,
신직업 등장, 직무 내용, 일하는 방식 그리고 앞으로 요구되는 미래 직업역
량 측면에서 살펴봤다. 이번 마지막 회차에서는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산업구
조 전환에 대응하여 추진되고 있는 정부의 인적자원개발 정책을 살펴본 다
음, 향후 산업계는 물론 우리 사회 전체가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지
속가능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하지만, 동시에 벼랑 끝으로 밀어붙이는
글 싣는 순서
불도저가 되기도 한다. 특히, 기술이 부
1. 디지털 전환에 따른 미래 직업세계 변화 족한 하청기업들은 비즈니스 전환에 실
2. 디지털 전환 시대에 요구되는 미래 직업 패하여 신산업의 생태계에 들어가지 못
역량 하면 곧바로 생명을 다하게 될 것이다.
3. 디지털 전환에 대응한 인적자원개발 방향 기업들은 비즈니스 전환 과정에서 발생
하는 어려움으로 R&D, 금융 지원, 파
트너십 구축 외에 혁신 기술인재 확보
를 들고 있다. 「Future of Jobs Report
디지털 전환은 산업구조 전환을 초래하 2023」(WEF, 2023)의 27개 산업클러스
고, 산업구조 전환은 기업들의 비즈니스 터와 전 세계 45개 경제권에 속한 803
전환을 촉진한다. 산업구조 전환은 기 개 기업 대상 설문조사를 보면 59.7%는
업들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퀀텀 지역 노동시장에서 기술역량 격차(Skills
리프(quantum leap) 기회를 제공하기도 gaps) 해소의 어려움을, 53.4%는 인재
102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