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8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98
LIVE JOURNAL Ⅱ
▲ 이찬 서울대 교수(좌측)와 이민구 서울대 교수(우측)는 생성형 AI가 사람의 삶과 HRD 분야에 일으킬 변화를 진단했다.
를 연구하는 이민구 교수와의 인터뷰에 넷 중심 세상에 잘 적응하지 못한 것처
선 AI의 미래를 어떻게 전망하며, AI 리 럼 생성형 AI는 시대 흐름에 따른 변화
터러시는 무엇이고, AI가 사람의 어떤 중 하나로 봐야 하며, HRD 담당자들은
역량을 높여주는지 질문했다. 이동우 교 같은 레시피도 누가 쓰느냐에 따라 다른
수는 “사람은 컴퓨터, 스마트폰, 애플리 요리가 만들어지는 것과 같이 독창성과
케이션처럼 자연스럽게 AI를 쓰게 될 것 자율성의 힘을 잊지 말아야 하고, 먼저
이며, 그로써 AI 기반 지식과 정보를 획 생성형 AI를 받아들인 뒤 기업의 여러
득하고 이해하는 능력인 리터러시를 갖 부서와 소통하며 조금씩 AI를 중심에 두
추게 될 것이고, 행위 주체성도 높아질 고 기업문화를 바꿔가야 한다고 제언했
것.”이라고 답했다. 여기에서 이동우 교 다. 특히 이민구 교수는 “생성형 AI는 일
수는 ‘행위 주체성’에 관해 “과거의 교육 을 위한 일을 줄여주기에 직무를 재배치
은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일방적으로 지 할 때 매우 유용하다.”라며 능률과 생산
식과 기술을 전달하는 방식이었지만 생 성 측면에서 꼭 활용해야 하는 도구라고
성형 AI는 학습자와 상호작용하는 만큼 강조했다.
학습자가 교육에서 주도권을 가질 수 있 이어서 이동우 교수는 이찬 서울대학교
다.”라고 덧붙였다. 이어서 이동우 교수 교수와의 인터뷰를 진행했는데 HRD 관
는 기업 구성원의 생성형 AI를 받아들이 점에서 생성형 AI 도입의 방향성과 잃지
는 속도 차이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며, 말아야 하는 사람의 몫을 물었다. 여기
HRD 담당자들의 과제는 무엇인지 물었 에 이찬 교수는 “역량은 지식, 기술, 태
다. 이민구 교수는 산업화 세대가 인터 도의 곱셈이기에 윤리의식이 필수적이
96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