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4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94

잠깐 쉬어가기




                      HRD용어 이해
                      HRD용어 이해                                                                                         에듀테크







                 교육투자론



                 교육의 경제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교육비 지출을 단순한 ‘소비’가 아니라 장래에 유익한
                 결과를 가져다주는 ‘투자’로 간주하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인간의 자질, 능력 등을 교육으로써
                 개발·향상시키는 것이 국민소득이나 경제성장에 긍정적으로 관련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교육비
                 지출이 갖는 의의를 중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학력별 소득격차, 개인에 대한 투자와 생애소득과의
                 관계, 국민소득 증대에 대한 교육의 기여율 등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의 자질과 능력을 계량화한다.
                 교육투자론은 경제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정책기술론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교육투자효율분석(ROI, Return On Investment)



                 교육프로그램의 실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다. 교육프로그램을 기획, 개발, 운영하는데
                 소요된 ‘총 경비’와 ‘교육을 통해 얻은 금전적 이득’을 측정함으로써 특정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ROI의 필요성은 HRD·교육 관계자라면 누구나 다 느끼고 있지만 실제로
                 측정·평가하는 작업은 고되고 비용도 많이 들기 때문에 모든 과정에 적용할 수는 없다. 좀 더
                 쉬운 방법을 찾으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고는 있으나 아직은 좀 더
                 개발이 필요한 분야다.

















                 92  HRD MAGAZINE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