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2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92

SUSTAINABLE MANAGEMENT





                                       HR Index 예시


                               생산성                            인식/몰입

                  HCROI(Human Capital Return on Investment)  직원몰입(Engagement)
                  HCVA(Human Capital Value Added)  조직풍토(Organizational Climate)
                  인당 매출액(Sales per FTE*)          인사관리 효과성(HR Effectiveness)
                  인당 영업이익(Operating Profit per FTE)  직원 추천지수(Employee Net Promoter Score)
                  인건비 비율(Labor Cost)              교육 투자율(Training & Development Investment)
                  핵심인력 확보율(Percentage Secured of Talent)  이직률(Employee Turnover)

                 *Full Time Equivalent(정규직/비정규직 포함 전체인력 근무시간/8)               (출처: 필진 구성)






                 문화만을 측정하는 진단도구란 존재하                문화적 시각에서의 고민이 담긴 실천적
                 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 기업에서              착안을 제공하는 연구결과나 제안이 아
                 사용하는 기업문화 프레임워크를 다른                니라면, 제아무리 저명한 대학교 경영
                 기업에서 사용하는 것도 그리 적절한 방              학자의 것이라 해도 눈길조차 주지 않는
                 법은 아닐 수도 있다. 기업문화를 진단              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인사조직 관련
                 하는 과정과 결과가 축적되면서 진단도               학위를 가진 기업현장 HR 전문가가 평
                 구도 점점 해당 기업만의 고유한 모습으              가나 보상 실행에 관해 직접 연구하여
                 로 다듬어지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기              실천적 시사점과 제안을 담은 학술논문
                 업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기              발표가 증가하고 있기도 하다. 사람人의
                 업문화 진단도구를 구성하는 ‘HR Index’          일事에 관한 의미 있는 연구의 수행이 어
                 를 일부 소개한다.                         려워지고 있는 이유다.
                 HR Index는 ‘생산성’과 ‘인식/몰입’ 영역
                 으로 나뉜다. 먼저 생산성 영역은 적정              지속가능경영과 기업문화
                 인력 예측과 같은 인력운영 효율성을,               기업문화란 기업의 경영 라이프사이클
                 다음으로 인식/몰입 영역은 인사제도 효              을 거치는 과정을 통해 축적된다는 점
                 과성을 주로 측정한다. 분석 과정을 통              에서 한 회사의 기업문화를 다른 회사에
                 해 수치로 데이터화한 HR 활동은 경영              이식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진 의사결정을 위한 자료로 사용된다는               최근 우리나라 생명공학 연구진이 생물
                 점에서 한때 유행했던 ‘HR Analytics’ 내       체의 유전자 특질을 조작해 세포의 노화
                 용 그 자체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현장              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기술을 확
                 의 CHRO들이나 HR 전문가들은 기업              보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이른바 유


                 90  HRD MAGAZINE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