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1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91
국내 A社 기업문화 진단도구 예시
조직 효과성
자율적 협력과 팀학습
임파워먼트 격려
(출처: 필진 설계)
업에서 기초모델이 됐으며, 기업문화를 성하는 요인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일관
관리하는 프로세스에도 상당한 영향을 적이고 지속적으로 찾아가는 과정을 거
미쳤다. 이 회사는 전사/사업부/팀 단 치며 활용도가 커진다.
위 문화 수준을 재무성과와 연계/분석해
서 CEO에게 경영정보로 제공한다. 수 기업문화 활용
십 년 넘게 자사만의 기업문화 프레임워 기업문화 측정은 성과관리(평가/보상),
크 운영 노하우를 토대로 ‘기업문화가 재 조직/개인성과, 직원몰입, 인력생산성,
무수준을 다르게 한다(Corporate culture 조직풍토, 조직구조, 인적구조, 직원관
makes a fiscal difference)’는 기업철학, 계, 의사소통, 육성/성장, 학습효과성,
즉 기업문화가 재무성과에 도움을 준다 근로조건과 같은 직원을 둘러싼 조직 내
는 바를 표방한다. 요인들의 관계와 흐름을 통합적으로 점
한편, 우리 기업들은 재무요인과 연계하 검하는 것이다. 글로벌 HR 컨설팅사가
는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사람/일/문화, 제공하는 기업문화 진단도구를 살펴보
가시적/잠재적 영역으로 문화를 분석/ 면, 상당히 방대한 영역을 다루고 있다
활용한다. 프레임워크는 기업문화를 형 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기업의
OCTOBER HRD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