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89

기업문화 구조

 기업문화(Corporate Culture)  속성            단계/영역                         의미

                                  경영실행
                                                 결과
                                 Managerial               경영상의 관리를 위한 경영도구로서의 활용
                       가시적                     Outcome
                                Implementation
                       Visible
                                   인공물           표식       인사제도/조직구조/업무프로세스와 같은 가
                                   Artifact      Sign     시적 패턴으로서의 의례
                       인식적       공유된 가치        상징과 믿음     명문화된 경영철학과 공유가치와 같은 조직
                       Aware   Espoused Values  Symbol & Belief  구성원 공감에 기초한 상징과 믿음
                       무의식적      잠재적 가정       상상(잠재의식)    현실/시간/공간과  같이  보이지  않는,  조직
                       Invisible  Tacit Assumption  Imagination  구성원 모두가 당연하게 여기는 잠재의식
                                                  (출처: Edgar Schein과 Joanne Martin 교수의 제안을 필자들이 재구성)






                     다. 이를 통해 호랑이와 고양이의 유전              것이기 때문이다.
                     자는 98.3%가 일치하지만, 단지 1.7%           필자들의 궁금증에 대한 답은 Edgar
                     의 차이로 인해 호랑이의 근섬유 강도와              Schein MIT 경영대학원 교수가 제안
                     운동신경이 고양이 대비 월등하다는 것               한 기업문화의 정의에서 실마리를 찾
                     과 호랑이를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로 자              을 수 있다. 그는 기업문화가 조직의 근
                     리하게 한 유전적 특질이 규명됐다고 한              저에 자리하는 공유된 가치와 철학으로
                     다. 게놈(genome)은 지구상 모든 단위           써 조직 구성원의 사고와 행동을 결정하
                     생물에 존재하며, 생물체의 생존과 성장              는, 해당 조직만이 가진 특질이자 속성
                     방식, 질병을 일으킬 특정 유전자를 확              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강한 기업
                     인해 준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 그              문화는 동태적 경영환경에서 기업이 경
                     렇다면, 자연생태계와 마찬가지로 약육               쟁우위를 확보하고 유지하게 하는 데 기
                     강식 논리가 지배하는 산업생태계에 있               여한다고 강조했다. 해당 시각을 견지
                     는 단위기업에도 게놈지도와 같은 것이               하고 기업문화 구조(corporate culture
                     존재하고 있지는 않을까? 기업체가 생               structure)를 살펴보면, 기업문화란 생물
                     존과 성장 방식을 가진 자기만의 ‘게놈              체의 게놈지도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
                     지도’를 갖고 있다면, 이를 활용해 산업             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 글에서
                     생태계에서 더 오래 생존하고 성장하게               는 기업문화를 ‘조직게놈(organizational
                     하는 요인에 관한 본원적 분석이 가능할              genome)’이라 명명하고 기업문화 관리


                                                                          OCTOBER HRD  87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