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85

세기는 인류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도               향에 부응하는 대응방안을 모색하면서
                     변화의 속도와 폭과 깊이가 빠르고 크므              미래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AI와 Age혁명 시대의       로, 이런 때일수록 긴 안목으로 미래를

                     전망하면서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할 필요              사회의 미래, 인간의 미래
 21세기형 미래준비          성은 더욱 높다.                          사람들은 어떤 미래를 원하게 될까? AI
                                                        혁명이 진전될수록 지능화와 최적화가
                     21세기의 패러다임 변화를 일으키는 동
                     인들은 많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우리 사회에 체화될 것이다. 그럴수록
                     3대 패러다임 변화로 기술변화, 인간변              사람들은 기능의 세계보다 감성의 세계
                     화, 환경변화를 들 수 있다. 그리고 21세           를 더 추구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좌
                     기 기술변화의 핵심은 AI혁명이고, 인간             뇌에 비해 우뇌적인 요소가 상대적으로
                     변화의 핵심은 고령화혁명 또는 장수혁               점점 더 중요해진다는 얘기다. 덴마크의
                     명으로 불리는 Age혁명이며, 환경변화              미래학자 롤프 옌센이 전망한 것처럼,
                     의 핵심은 주지하다시피 기후위기라고                기술을 넘어 드림 소사이어티와 르네상
                     할 수 있다.                            스 소사이어티의 도래로 인해 꿈의 시
                     필자는 이들 3대 패러다임 변화 중에서              대, 개인의 시대가 더욱 본격화될 것으
                     특히 AI혁명과 Age혁명을 21세기의 두            로 보인다.
                     가지 A혁명으로 부르고 있다. 먼저 AI혁            인구는 어떻게 될까? 1960년대 한국은
                     명은 산업화와 정보화를 넘어 지능화를               20세 이하 인구가 전체 인구의 50%를
                     향해가는 혁명으로, 인간지능과 인공지               차지한 시대였다. 지금은 인구중심이 중
                     능이 공존하고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년으로 이동해서 2020년의 대한민국 중
                     사회가 실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으              위연령은 43.7세다. 그리고 불과 40년
                     로 Age혁명은 인구구조 측면에서 고령              후인 2060년에는 대한민국의 인구중심
                     자들의 비중이 점점 늘어나는 고령화혁               이 60세 이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명실
                     명과 개인수명 측면에서 사람들이 100              상부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것이다.
                     세, 120세를 넘어 살게 되는 장수혁명을            이제는 50대, 60대, 70대는 중년으로 부
                     함께 가져다주고 있다. 그리고 기후위기              르고 80세 이후를 노인으로 부르는 것이
                     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탄소중립사회와                더 적절한 시대가 되고 있다.
                     순환경제사회로의 전환이 불가피할 것                인구구조 변화도 중요하지만, 개인적인
                     으로 전망된다.                           측면에서는 수명변화를 포함한 인생 자
                     이렇게 AI혁명과 Age혁명, 기후위기가             체의 변화가 더 중요해질 것이다. 2020
                     한꺼번에 휘몰아치고 있는 패러다임 변               년 현재 최빈사망연령은 남성이 86세,
                     화에 대응해서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여성이 90세를 넘고 있다. 최빈사망연
                     하고 어떻게 대응해나가야 할까? 미래               령이 100세를 넘을 날도 머지않아 보인
                     변화의 본질을 파악하면서, 변화하는 방              다. 평균수명 100세, 120세 시대가 다가


                                                                          OCTOBER HRD  83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