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66

SPECIAL REPORT   2024 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전략적 통찰과 Tips







                   직무경험을 확대하는


                   HRD 디자인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재택근무, 원격 온보딩 등의 부
                                      작용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퇴사 시대나 조용한 사직이
                                      그렇죠. 더욱이 내년 경기도 호락호락하지 않습니다. 그러
                                      니 유입되는 인력의 조기전력화, 리더십과 성과 위주 직무
                                      교육에 집중해야 하며 연수원의 경우 조직 내 컨설턴트 역
                                      할을 해내야 합니다.
                                      많은 기업이 교육계획의 실효성을 더욱 고민할 것입니다.
                                      따라서 구성원과 조직 차원의 HRD 프로그램을 기능적으
                                      로 분류해서 균형을 맞춰야 합니다. 연간 교육계획을 수립
                 하되 완성도는 70%-80% 정도로 설정하고 분기별로 다듬는 것이 적재, 적소, 적시 교
                 육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교육의 시발점은 리스킬링과 업스킬링에 둬야 합니
                 다. 업스킬링은 직무강화 필요성을 본 다음 타겟을 잡아야 하고, 리스킬링은 새로운 사
                 업이나 직무 영역에서 타겟을 잡아야 합니다. 구성원의 연차와 역량의 수준도 감안해
                 야 하겠죠. 리더십의 경우 플레잉코치, 실무를 겸비한 ‘현장에서 뛰는 리더’가 지향점이
                 어야 합니다. 또한, 지금은 경영환경이 좋지 않아 리더들도 고충이 많으니 리더십 개발
                 과 팔로워십 개발을 병행해야 합니다.
                 불확실성이 워낙 강한 환경이라 고민이 많을 겁니다. 그러나 교육계획 수립은 여전히
                 중요한 과업입니다. 그리고 마이크로러닝이 추세라고 해도 핵심기술이나 핵심가치 교
                 육은 여전히 장기차수 교육이 효과적입니다. 새로운 기술을 익히는 것, 조직 고유의
                 DNA를 체화하는 것은 긴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기업교육은 결코 ROI를
                 무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잃지 않아야 하는 것, 변화해야 하는 것을 두루 살피며 구
                 성원의 직무경험을 확대하는 교육계획을 디자인하길 바랍니다.


                                                                         이찬
                                                 서울대학교 산업인력개발학전공               교수



                 64  HRD MAGAZINE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