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2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62

SPECIAL REPORT   2024 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전략적 통찰과 Tips







                   긴 호흡 아래 짧고 반복적인


                   수정·보완








                                      HRD 분야에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맞물려 skill-
                                      based learning, HR analytics 등에 대한 관심이 커질 것으로
                                      보이며, 학습의 대상인 콘텐츠가 상세하지만 짧은 단위로
                                      변화할 것이라는 점도 분명해 보입니다. 범위를 넓혀 HR
                                      트렌드를 하나 꼽자면 필요한 인력의 확충이 점차 어려워
                                      질 것이라는 점입니다. 노동시장에 유입되는 청년층의 감
                                      소, 청년층의 일자리에 대한 선택적 참여(대기업 쏠림 현상
                                      등)가 이런 트렌드를 강화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짜임새 있게 교육계획을 수립하는 일의 중요성은 더 높아
                 질 것으로 확신합니다. 여기서 짜임새 있는 교육계획 수립은 일이 어떻게 구성되고 있
                 고, 이 일을 잘하기 위해 무엇을 학습해야 하는지 명확히 정해져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
                 다. 관련해선 일 자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직무분석능력, 그것을 기초
                 로 세부 과업들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파악하는 역량분석능력이 각각 필요하다
                 고 생각합니다.
                 한 가지 꼭 첨언하고 싶은 점은 ‘긴 호흡에서’ 교육계획을 수립하는 것의 타당성입니다.
                 애자일(agile)이라는 용어에서 확인할 수 있듯, 한번 수립한 계획에 대한 지속적인 검토
                 와 보완이 필요한 환경이 도래했습니다. 그러니 개인의 성장과 조직의 성장이라는 ‘길
                 고도 궁극적인’ 지향점 아래 ‘짧고 반복적인’ 교육계획에 대한 수정·보완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HRD 담당자들이 쉽게 빠질 수 있는 함정 중 하나는 모든 것을 교육으로 해결하려 한
                 다는 점입니다. 문화나 제도의 변화가 교육보다 더 필요한 상황도 있을 수 있음을 감안
                 하여 조직 내 다른 기능과 협업할 사항은 없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교육을
                 포괄한 ‘HRD 기능만이’ 할 수 있는 일에 초점을 둬야 합니다.

                                                                       박용호
                                                 인천대학교 창의인재개발학과                교수


                 60  HRD MAGAZINE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