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58

SPECIAL REPORT   2024 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전략적 통찰과 Tips





                                                    의 어떤 역량을 강화할 것인지’, ‘직무교
                                                    육 내용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 ‘성
                                                    과관리시스템에 문제는 없는지’ 등을 고
                                                    민하며 해답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런
                                                    작업을 더욱 전략적으로 해내려면 사후
                                                    보완이 필요한 발생형 문제, 예방적 개
                                                    선이 필요한 탐색형 문제, 전향적 개발
                                                    이 필요한 설정형 문제로 나눠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큰 방향을 잡았다면 이젠 내용을 채우기
                                                    위한 사전작업에 나서야 한다. 임직원의
                                                    교육과 학습에 대한 니즈를 반영하는 것
                                                    이다. 조직에서 경영진과 실무자는 역할
                                                    과 책임이 다르다. 그렇기에 다른 접근
                 ▲  교육계획은 HRD 부서의 한해 농사를 좌우한다. 그러니 HRD
                  담당자들은 넓은 시야와 깊은 통찰력을 발휘해서 과업을 완   법이 요구된다. 경영진을 대상으로는 ‘경
                  수해야 한다.
                                                    영전략’, ‘교육에의 투자/지원’, ‘경영관
                                                    리’, ‘각종 제도’, ‘조직문화’ 등을 골자로
                 MR 등의 실감형 콘텐츠, 데이터와 AI와            세부 질문들을 준비해서 인터뷰를 진행
                 같은 테크놀로지에 기반한 러닝큐레이                하며 어떤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지 알아
                 션 등이 있다.                           봐야 한다. 실무자들의 경우 경영진보다
                 내외부 환경에 대한 파악이 어느 정도               인원이 훨씬 많기 때문에 직무별/계층별
                 이뤄졌다면 무엇이 포인트이며, HRD               교육, 직무별/분야별 교육, 경력개발, 자
                 부서 차원에서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기계발 등을 골자로 질문들을 준비해서
                 정리해봐야 한다. 물론 기준점은 경영방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이다. 예를 들어 현재 상황이 계속되              이후 ‘기존 교육과정’이 인터뷰/설문조
                 거나, 원하는 대로 흘러갔을 때 회사의              사로 파악한 내용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매출액, 평균성장률, 기업순위 등은 어              경영진과 실무자의 요구를 교육으로 만
                 떻게 될 것이며 기존사업이나 신사업을               족시킬 수 있는지 분석해야 하며 경영철
                 비롯해 영업/마케팅, 생산, R&D, 기획            학, ROI 등의 측면에서 교육과정을 분
                 등의 기능에 어떤 영향이 있을 것이고,              석한 다음 개선해야 하는 부분이 무엇인
                 HRD 측면에서의 인사이트는 무엇인지               지 찾아내야 한다. 그런 다음 ‘전략적 중
                 도표를 통해 정리하는 방식이다. 여기에              요도’, ‘긴급도’, ‘실현가능성’을 종합적으
                 서 HRD 인사이트는 ‘글로벌 교육을 강             로 고려해서 HRD 중점 과제를 선정해
                 화할 것인지’, ‘중간관리자/실무담당자들             야 한다. 공통역량 도출, 직무별 특수역


                 56  HRD MAGAZINE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