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46
FOCUS 이인아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 교수
이 변해야 합니다. 사실 학습은 사람을 에 맡기면 되기 때문에 학습이 더욱 중
비롯한 모든 동물이 합니다. 어떤 동물 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뇌
이 아무 생각 없이 어느 곳에 갔다가 위 에 대해 알면 알수록 AI는 아직 멀었다
험한 상황을 겪었다면 다음부터는 그곳 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라고 말했다. 언
을 피하죠. 학습이 일어난 겁니다. 우리 어로 표현할 수 없는 수많은 것들이 사
가 웬만하면 어둡고 음산한 골목길에 들 람의 사고를 형성하고 그럼으로써 커뮤
어가지 않고 돌아가는 것도 학습된 것이 니케이션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그러니
죠. 기업들도 이런 ‘행동의 변화’를 바라 그동안 인류가 남긴 온갖 것들을 뒤져
고 직원들에게 여러 교육을 제공하겠죠. 상상할 수 없이 빠른 속도로 단어를 조
아쉽게도 우리나라에서 학습이라고 하 합해서 사용자가 던진 질문에 답하는 생
면 자연스럽게 학원교육이나 학교교육 성형 AI는 아직은 사람을 흉내 내는 앵
을 떠올립니다. 시험을 봐야 할 것 같고, 무새와 같다. 이인아 교수는 “사람은 ‘빨
점수가 나와야 할 것 같고, 학습자들을 간 차가 고속도로를 달리고 있다’라는 문
판별해서 줄을 세워야 할 것 같은 생각 장을 보면 돈이 많고 주목받길 원하는
이 대표적입니다. 이런 경우 학습을 향 누군가가 운전하고 있을 것이라고 나름
한 동기가 부여되지 않아요. 그러니 각 대로 짐작하지만 생성형 AI는 이런 사고
계의 교수자들은 행동이 바뀌기 전과 후 를 할 수 없습니다.”라고 설명했다. 물론
의 상태를 명확하게 정의해야 하고, 학 그는 ‘컴퓨터 언어’가 아닌 일상에서 쓰
습은 행동의 변화가 핵심이라는 것과 왜 는 언어로 사람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
행동을 바꿔야 좋은지를 설명하며 학습 고, 작품(글, 기사, 그림 등)도 만들 수
자를 설득해야 하고, 특정 교육에 대한 있으며, AI 연구가 1958년에 시작됐다
교수자와 학습자의 목표를 일치시켜야 는 것을 고려하면 지금의 생성형 AI는
합니다. 그리고 사람은 영화나 책을 보 놀라운 수준의 발전이라고 진단했다.
고, 다른 사람에게 어떤 얘기를 듣고 행 나아가 이인아 교수는 ‘사람다움’에 관해
동을 바꿀 때가 있습니다. 그러니 경험 서도 통찰력을 공유했다. 먼저 그는 “원
학습도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교육할 숭이도 사람처럼 도구를 사용하지만, 과
때마다 다른 학습자와 다른 독특한 행동 거를 반추하며 앞으로 일어날 일을 시뮬
을 보이는 학습자가 있는데 이러한 ‘개 레이션해서 대응방안을 세우지는 못합
성’을 존중해줘야 합니다. 군대가 아닌 니다.”라고 설명했다. 사람은 마치 타임
이상 획일성은 좋지 않아요. 다양성이야 머신을 타듯 과거로 돌아가서 자기가 경
말로 예측하지 못한 위기가 발생했을 때 험했던 것을 다시 경험해볼 수 있다. 누
그것을 이겨낼 수 있는 원동력입니다.” 군가를 만나 과거를 얘기하면서 그것을
이인아 교수는 이제 여러 지식을 획득하 되새기는 사람들도 많다. 그리고 가깝게
는 것은 챗GPT로 대변되는 테크놀로지 는 1년 계획, 조금 멀게는 10년 계획, 아
44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