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42

HRD LEADER        윤정구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박사학위를 취득한 윤 교수는 이후 코넬              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논문을
                 대학교 노사관계대학원(ILR School) 조          써봐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론만으로는
                 직행동론학과에서 연구를 이어가다가                 미래를 예측하고 준비하기 불가능한 시
                 한국으로 돌아와 아주대학교 경영학과                대가 펼쳐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화여
                 교수를 역임했다. 아주대학교에서 그는               자대학교 경영대학에서는 실무경험을 가
                 대우그룹의 리더육성 및 직원교육 설계               진 경영관리자들을 대상으로 경영방법
                 에 참여하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HRD를              론을 학습하도록 하는 D.B.A(Doctor of
                 접하게 됐다. 유관해서 윤 교수는 다음              Business Administration) 박사학위 과정을
                 의 설명을 덧붙였다.                        제공하고 있다. 해당 과정에서는 회사의
                 “아주대학교는 대우 장학생이라는 명칭               중요한 문제를 연구하고, 해결하는 것을
                 으로 미래 인재를 육성하고 있었고, 대              장려하며 여성리더 육성을 위한 파이프
                 우그룹은 해외 교수를 대거 모집해서 대              라인 강화에도 집중하고 있다. 관련해서
                 우 리더십 프로그램을 설계했습니다. 여              윤 교수는 “이론을 학습하는 것과 현업
                 기에 더해 대우그룹은 각 계열사에 아주              의 문제를 풀어내는 것을 독립적으로 생
                 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들을 파견시켜 직               각한다면 공부만으로 끝을 맺는 것입니
                 원교육을 시행했죠. 저는 대우인재개발               다.”라며 “현업의 문제가 근본적으로 무
                 원과 함께 훌륭한 리더십을 발휘한 CEO             엇인지, 또 해결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들의 삶을 추적하고, 인터뷰도 하면서               를 탐구하는 것이 성공적인 발전을 도모
                 리더십 모델을 연구했습니다. 이 과정에              할 수 있는 길입니다.”라고 짚어줬다.
                 서 HRD Practice를 직접적으로 경험할          그런가 하면 윤 교수는 조직문화 차원에
                 수 있었습니다. 또한, 한국에 돌아오고              서 HRD 담당자가 주목해야 할 개념으로
                 나서도 코넬대학교 조직행동론학과의                 ‘종업원 체험’을 꼽았다. 그는 운전으로
                 실험실을 운용하면서 20여 년 동안 매해             현대 경영환경을 비유하며 다음과 같은
                 빠짐없이 교수들/대학원생들과 함께 실               설명을 건넸다.
                 험하고 논문을 집필하는 일에 힘썼습니               “종종 체험과 경험을 혼동하는데, 체험은
                 다. 말씀드린 노력을 통해 얻은 이론적              운전석에서 직접 운전하는 것이고, 경험
                 아이디어들은 경영/HR/HRD 실무에               은 조수석에 앉아있는 것입니다. 기존에
                 적용하고, 필드 서베이 등으로 확증하는              는 도로, 즉 경영환경이 마치 고속도로와
                 시도로 이어졌습니다.”                       같았기에 경험만으로도 충분했으나, 지
                 이어서 윤 교수는 “HRD 관계자들은 위             금은 목표를 향해 가는 길이 때로는 산길
                 기가 수시로 찾아오는 세상에서 공부에               이기도 하고, 좁고 위험한 길이기도 합니
                 박차를 가하지 않는다면 자연스럽게 도               다. 그러니 운전석에서 주체적으로 체험
                 태될 수밖에 없습니다.”라고 말했고, 학             하는 것이 중요하죠. 경영환경으로 돌아
                 업에 관심이 있다면 본인의 업무와 관련              오면 업무의 목적을 이해하고, 여러 문제


                 40  HRD MAGAZINE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