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26
ISSUE
▲ 기업들은 지원자들의 학교, 학위, 경력 등 포괄적인 스펙을 보며 채용했던 과거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스킬을 보고 있다.
워크로 알려져 있는 ‘KSA(Knowledge, 과 소프트스킬(soft skill)로 구분된다. 먼
Skill, Attitude)’ 중 하나로 익숙할 것이 저 하드스킬은 생산, 마케팅, 재무, 회
다. 물론 상황과 맥락에 따라 스킬은 능 계, 인사조직 등의 기능에서 전문적으로
력(ability)이나 역량과 혼용될 때도 많 쓰이는 지식을 말한다. 공인된 자격증을
다. 그렇지만 인적자원개발연구를 보면 생각하면 된다. 소프트스킬에는 문제해
스킬은 ‘특정한 과업(task)이나 직무(job) 결능력, 발표능력, 표현능력, 의사소통
를 능숙하게 수행하는 수준’으로 이해할 능력, 정보수집능력 등이 속한다. 이러
수 있다. 사전적 정의를 보면 능력은 ‘어 한 스킬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생
떤 일을 감당하거나 이뤄낼 수 있는 힘’, 성형 AI로 인해서다. 김주수 부사장은
스킬은 ‘특별한 훈련이나 지식이 요구되 “보안상의 문제가 존재하고, 기대한 만
는 활동이나 일의 유형 혹은 어떤 것들 큼의 답변이 나오지 않을 때가 많긴 하
을 잘 해내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능력’ 지만 생성형 AI는 분명 다양한 정보와
이다. 따라서 스킬은 능력을 포함하고 지식을 빠르게 제공해주는 만큼 생성형
있으며, 선천적인 부분도 존재하겠지만 AI에 구체적인 질문을 던져서 정확도 높
교육훈련을 통해 후천적으로 습득할 수 은 답을 얻는 능력인 프롬프트 엔지니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어링도 중요한 스킬로 부상하고 있습니
스킬은 굵직하게는 하드스킬(hard skill) 다.”라고 설명했다.
24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