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14
MESSAGE
2024 교육 전망과 HRD 스탭의
역할
글_엄준하 『HRD』 발행인
빠르게 변하는 사회와 기업 환경에서 HRD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지금
은 2024년을 대비하여 한국기업의 HRD 전략과 교육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시점입니
다. 이때 변화에 대응해야 하는 교육과 HRD 스탭의 역할을 전망해봅니다.
첫 번째, 디지털 역량 강화가 필요합니다.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점점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기술은 업무
프로세스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HRD 부서는 이런 기술을 활용한 역
량 강화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교육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두 번째, 직무능력 중심 교육의 강화입니다. 직무성과와 관련하여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합니다. 직무교육은 워크플로우 상에서 선임자나 팀장의 코
칭으로 이뤄져야 하고, 다양한 전문직무교육은 사내 직무전문가에 의해서, 공통직무역
량은 사내강사를 통해 개발이 이뤄져 합니다.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개인의 능력
과 요구에 맞는 교육 커리큘럼 역시 직무능력 중심으로 구성돼야 합니다.
세 번째, 미래 기업의 경영을 이끌어갈 리더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디지털과 AI
등으로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지속가능경영과 미래 경쟁 우위를 위한 디지털 리더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그에 맞춰 멘토링 프로그램도
운영해야 합니다.
네 번째, 직무별 최고 수준 역량개발이 가능한 모델을 개발해야 합니다. 각 직무에 필
요한 능력 중 글로벌 최고 수준의 역량을 정의하고 그 역량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설
계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다섯 번째,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 개선하기 위한 성과측정과 피드백이 필요합니다.
교육 프로그램을 마친 후에는 효과를 측정하는 KPI(핵심성과지표)를 설정하고, 관련하
여 성과를 분석해 제공하는 시스템을 작동시켜야 합니다.
여섯 번째, 업무와 교육이 연결돼야 합니다. 교육이 업무와 직접 연결돼야만 교육에 흥
12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