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1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111

위키백과에 따르면 생태계(Ecosystem)           씬 더 적합한 새로운 시스템이 나타난
                     는 상호작용하는 유기체들과 그들과 서               다. 인간은 단지 환경조건에 맞는 초기
                     로 영향을 주고받는 주변 무생물 환경을              생물종을 도입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설
                     묶어서 부르는 말이다. 기존의 가치사슬              계에 참여하며 나머지는 모두 자연이 알
                     에선 직접 제품/서비스를 생산하여 유통              아서 진행한다.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반해 생태
                     계에서는 교수자, 기업, 투자자, 연구자,            우리는 교육 전반의 레거시 시스템 해체
                     규제기관(정부기관) 등이 일원으로 포함              를 목도하고 있다. AI 기반 개인별 맞춤
                     되는데 모든 이해관계자가 유기체들처                형 학습이 일어나고 있고, 업무 중 적시
                     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상호작용하               학습이 가능한 워크플로우 러닝이 구현
                     는 시스템 또는 경제공동체다. 건강한               되고 있다. 메타버스가 주는 교육환경의
                     에듀테크 생태계가 교육의 혁신을 지속               실재감, AI가 결합된 메타휴먼 중심 개
                     가능하도록 하게 하려면 생태공학적 접               인별 AI 튜터도 일상화될 것이다. 다시
                     근이 필요하다. 생태공학은 생태계의 자              한번 강조하지만 이러한 해체자들이 건
                     기설계 능력에 기반한다. 변화가 일어날              강한 에듀테크 생태계를 이루고 이를 기
                     때 자연계는 바뀌고, 생물종은 서로를               반으로 교육의 혁신이 지속가능하도록
                     대체하며, 먹이사슬은 재조직된다. 생물              하게 하려면 지속적이고 건강한 생태계
                     종의 취사선택에 따라 주어진 환경에 훨              구축이 핵심이다.



                       [참고 자료]
                       교육혁명 2030, 이지은, 이호건 외 2명, 교보문고(2023)
                       송민정, 가치사슬에서 생태계 환경으로 발을 내딛다, 헬로티, 2014.11.27, https://www.hellot.net/news/article.
                       html?no=20730
                       김국현, 언번들링의 시대, ZDNET Korea, 2008.7.25, https://zdnet.co.kr/view/?no=00000039171138
                       이석모, 왜 생태공학인가?, 경제포커스, 2019.10.19, http://www.economyf.com/m/view.asp?idx=3162











                                 정훈 대표
                                 에듀테크  리서치  컨설팅  기업,  러닝스파크  대표.  메타에듀테크-마켓인텔리전스  플랫폼인
                                 애스크에듀테크닷컴(AskEdTech.com)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국내외 교육 관계자들에게 에듀테크와
                                 관련해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공저로 『대한민국 교육 트렌드 2023』,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30』, 『교육혁명 2030』이 있다.

                                                                         OCTOBER HRD  109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