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6 - 월간HRD 2023년 10월호
P. 106
PROFESSION TREND
터셋에 포함된 6억 7,300만 개의 일자리 때문이다.
중 2%)의 일자리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 이렇게 기술혁신과 함께 인구구조 변화,
타났다. 이는 조사 대상 전체 종업원 중 문화·제도 변화, 글로벌 밸류체인 변화
22.6%에 해당하는 1억 5,200만 명이 향 등의 요인은 직업세계를 변화시킨다.
후 일자리 변화를 겪어야 한다는 것을 자세히 보면 첫째, 일자리 구조 변화가
의미한다. 있다. 통계청의 「지역별 고용조사」에 따
한편, 2023년-2027년 사이에 새롭게 르면 2008년-2022년 사이 전문가 및
일자리 창출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직 관련 종사자의 취업자 비중은 18.5%에
업으로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전문가, 지 서 20.8%로 2.3%p 증가한 것에 비해,
속가능 전문가,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동기간 판매 종사자는 12.5%에서 9.3%
(BI) 전문가, 정보보안 전문가, 핀테크 로 -3.2%p,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
엔지니어, 데이터분석가 및 데이터사이 자는 9.8%에서 8.3%로 –1.5%p, 장치
언티스트, 로보틱스 엔지니어, 빅데이터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는 11.1%에
전문가, 디지털 전환 전문가, 블록체인 서 10.7%로 –0.4%p 감소한 것으로 나
개발자 등이 발표됐다. 타났다. 엔지니어 등 전문가 직종의 취
반면 창출되는 일자리보다 감소하는 일 업자 비중은 증가했지만, 자동화, 로봇
자리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에 화 등의 기술(technology)로 대체가 가능
는 은행출납창구 사무원, 우편 사무원, 한 판매직, 기능직, 장치기계 조작 및 조
계산원 및 매표원, 데이터 입력원, 비 립직 취업자 비중은 감소하고 있는 것을
서, 자재기록 및 재고관리원, 회계 및 경 알 수 있다.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 신
리 사무원, 가전제품설치 및 수리원, 통 기술·신산업 분야에서 신직업 탄생(협
계·금융·보험 사무원, 방문판매원, 경 동로봇인스톨러, 메타버스크리에이터
비원, 텔레마케터, 조립 및 공장생산 근 등), 기존 직업의 전문화·세분화(블록
로자 등이 포함됐다. 체인전문가, 데이터사이언티스트 등)가
이상과 같은 일자리 변화는 비즈니스 혁 발생하고, 이들 직종에서 새로운 인력
신과 관련되는데, 비즈니스 혁신을 이 수요가 창출된다. 반면 기존의 단순하고
끄는 16개의 거시적인 트렌드 중 ‘신 반복적인 직무(tasks)가 기술로 대체됨에
기술 및 첨단기술의 채택(adoption) 증 따라 일자리가 줄어들거나 아예 소멸하
가’(86.2%)와 ‘디지털 접근성(digital 기도 한다(조립생산직, 판매직, 물류창
access) 확대’(86.1%)가 각각 1위, 2위로 고직 등).
나타났다. 기업이 첨단기술을 채택하면 둘째, 직무 내용 변화가 있다. 산업현장
정보 및 데이터 처리와 같은 작업이 점 의 기술·지식 및 장비가 달라짐에 따
차 자동화되고, 노동시장을 재구성하며, 라 수행 직무가 달라진다. 기존 근로자
작업에 필요한 기술(skills)을 변화시키기 들은 숙련강화(Upskilling) 및 재숙련화
104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