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1 - 월간HRD 2023년 8월호
P. 91
▲ PACA 미래형 교수학습 모형 - 융합적 학습. (출처: 이지연·김미화, 2023)
2015). 우리나라에서 융합적 학습과 관 결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교
련된 논의는 주로 과학, 기술, 공학, 인 수학습 형태’를 의미한다. 교육현장에
문사회·예술, 수학을 연계하여 과학기 서 융합적 학습을 구현할 수 있는 방식
술 기반의 융합적 사고와 실생활 문제해 은 크게 주제 간 융합, 교수학습 방법
결력을 함양하고자 하는 STEAM(융합 의 융합, 그리고 디지털/테크놀로지 융
인재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합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이지연·김미
여러 대학교도 기초교육과 단일 학문영 화, 2023). 먼저 주제 간 융합이란 단순
역으로 구분되는 학과중심주의에서 벗 히 여러 교과의 내용을 동시에 제시하는
어나 다학문적 연계를 통한 자유전공학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두 개 이상의 주
부를 운영하는 등 교육현장에서는 융합 제나 내용을 결합하여 새로운 학습목표
적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노 를 제안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력을 기울이고 있다. 교수학습 방법의 융합은 서로 다른 방법
을 결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학습
에듀테크와 혁신적 교수방법은 어떻게 이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나 협동 학
융합적 학습을 지원하는가? 습, 토론 학습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융합적 학습(convergent learning)은 ‘학 은 각각 학습자의 문제 이해와 해결에
습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다차원적으로 도움이 되는 상이한 관점과 경험을 제공
AUGUST HRD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