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4 - 월간HRD 2023년 8월호
P. 84

LIVE JOURNAL Ⅱ
























                 ▲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교수(좌측)와 이중학 가천대 교수(우측)는 각각 ‘지속가능한 인생 포트폴리오’, ‘데이터가 여는 새로운 일과 학습’
                  을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들고, 그 안에서 긴급하진 않더라도 중              적 관계를 맺는 직업은 챗GPT가 대체하
                 요한 일(건강, 학습, 감성, 공감)들에 집           기 어렵다’라고 말한 사티아 나델라 MS
                 중하면 더 나은 미래가 펼쳐질 것이라고              CEO와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의 관점을
                 힘주어 말했다.                           소개했다. 이는 골드만삭스의 ‘육체노동
                 기조강연 후에는 전문가들의 발표로 꾸               에 미치는 AI의 영향은 적다’라는 분석과
                 려진 세션이 진행됐다. 먼저 이중학 가              도 일치한다. 따라서 이 교수는 “세상의
                 천대학교 교수가 ‘데이터가 여는 새로운              변화는 물론 자신의 역량과 관련된 데이
                 일과 학습’을 주제로 강단에 섰다. 그는             터를 주시하며 일을 재정의하고, 지식
                 그간 일터에서 쌓인 데이터를 분석한 결              과 노동의 균형을 이룬 가운데 지속적으
                 과 직업, 조직 내 인력, 시공간을 보는             로 학습하는 습관을 갖춰야 한다.”라고
                 시선이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              강조했다. 그러고 나서 이 교수는 ‘같음
                 로 직업은 돈을 넘어 의미, 가치, 성장을            은 연결을 다름은 성장을’이라는 문구를
                 추구함으로써 삶의 번영을 이뤄내는 방               공유하며 포럼 참여자들이 자신의 재능
                 향으로, 조직 내 인력은 AI/로봇이라는             을 자본화하고 다양한 사람과 교류하며
                 동료와 함께 일하는 방식으로, 시공간은              계속해서 자신을 발전시켜가길 당부했
                 가상공간에서 일하거나 주 4일 근무제               다. 다음 순서는 ‘지속가능한 인생 포트
                 를 시도하는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폴리오’를 주제로 잡은 정희원 서울아산
                 이어서 이 교수는 사람처럼 자료를 찾               병원 노년내과 교수의 발표였다. 정 교
                 고 생각해서 실행함으로써 결과물을 만               수는 “사람의 노후를 결정하는 것은 ‘나
                 드는 챗GPT의 사례와 ‘몸을 쓰고 사회             를 지키는 것’을 뜻하는 내재역량.”이라


                 82  HRD MAGAZINE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