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월간HRD 2023년 8월호
P. 33

▲ 임종령 통역사가 자신의 일이자 삶이 펼쳐지는 공간인 동시통역 부스를 가르키며 미소를 짓고 있다.




                     야’가 아니라 ‘너 잘났어’가 되기도 합니            한 장면이 매끄럽게 지나가도록 힘을 보
                     다. 따라서 통역사는 상황의 맥락과 사람             탰을 때는 더 없을 성취감이 솟아난다.
                     의 감정까지 정확하게 전달한다는 생각               물론 겸허함도 잊지 않는다. 그는 “최선
                     을 가져야 합니다. 연사가 화를 내면 같             을 다했지만 아쉬움 가득했던 순간들도
                     이 화를 내고, 연사가 울먹거리면 함께              있었던 만큼 겸손한 태도가 얼마나 중요
                     동요하는 감성이 필요하고, 중요합니다.              한지 잘 알고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또
                     AI 번역기술의 경우 방금 말씀드린 상황             한, 그는 “일을 완벽하게 해내고자 노력
                     의 맥락을 유추하고, 공감하는 부분에서              하는 과정을 통해 사람은 어제보다 더 성
                     부족함이 있습니다. 통역사는 회의 분위              숙한 존재가 되며, 이것이야말로 일에서
                     기, 연사들의 감정 상태, 말의 뉘앙스를             얻는 행복이라고 생각합니다.”라는 메시
                     잘 파악하는 눈치와 요령이 요구되는 직              지도 전해줬다.
                     업입니다. 그래서 AI 번역본을 검토해서             끊임없는 담금질로 평범함을 비범함으로
                     완성도를 높이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제              바꾼 임종령 통역사. 그의 삶은 하나의
                     직업에 위기가 닥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학습자료와도 같았다. 많은 직장인이 행
                     일거리가 늘어난 셈이죠.”                     복을 갈구하지만 동시에 성공도 바란다.
                     임종령 통역사는 예나 지금이나 동시통               이들에게 임종령 통역사는 “오늘 하루가
                     역 부스에서 발화자의 말에 귀를 기울이              마지막인 것처럼 간절히 원하고 그것을
                     며 유려하게 통역하는 순간 충만감과 행              실행에 옮기는 습관을 만든다면 성공과
                     복을 느낀다. 남북정상회담, 한미정상회              행복이 다가올 겁니다.”라는 제언을 건네
                     담, 다양한 통상협상 등 현대사의 굵직              며 인터뷰를 마쳤다.


                                                                          AUGUST HRD  31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