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월간HRD 2023년 8월호
P. 19
럼 온보딩이 첫 90일 동안 회사의 문화, 률이 높아지기에 회사는 경쟁우위 확보
일하는 방식, 핵심가치, 미션과 비전, 비 가 가능하다.
즈니스 현안, 업무 관련 지식과 능력 등
을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습득하는 데 그 에버보딩을 위한 첫 스텝
치면 곤란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쉽게 말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처럼 무슨 일에서
해 신입사원, 나아가 모든 구성원 대상 든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 에버보딩
연속적인 온보딩을 시행해야 한다는 뜻 의 경우 우선 온보딩 자체를 성공적으로
이다. atd에서 에버보딩에 관해 설명한 운영해야 한다. 온보딩이 만족스럽지 않
Fara Rosenzweig WorkRamp 콘텐츠 책임 았다면 에버보딩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자에 따르면 구직자들의 약 80%는 전문 기대할 수 없다. 조직마다 세부적인 내용
성 개발과 지속적 학습을 우선순위에 둔 은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온보딩의 효
다. 또한, 직장인들의 약 94%는 고용주 과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확인한다. 첫
가 직원들의 성장에 더 많이 투자하면 회 째, 직원 만족도 조사다. 새롭게 회사에
사에 오래 머물 것이라고 말한다. 시의적 합류한 신입사원들은 제삼자에 가까운
절한 역량개발을 향한 회사의 지원이야 시선에서 그 회사의 일거수일투족을 바
말로 노동시장에서 경력을 이어갈 수 있 라볼 수 있다. 그러니 이들에게 첫 90일
는 동인임을 인지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 동안 제공된 프로그램, 교육, 이벤트 등
러 Fara Rosenzweig는 “결과가 아닌 과정 은 유익했는지, 온보딩의 효과는 있었다
에 집중하며 기업에서 교육과 학습을 하 고 보는지, 교육의 내용은 어땠는지, 선
나의 문화로 만들어야 한다.”라고 강조 배들과 멘토들은 제대로 도움을 줬는지
한다. 그리고 WorkRamp의 교육설계 관 등을 자세하게 질문하며 양질의 피드백
리자 Jen Scopo는 “회사가 비즈니스 목표 을 받아야 한다. 둘째, 직무수행능력 평
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유일한 방법은 가다. 온보딩 이후 부서에서 주어진 업무
학습에 투자하는 것.”이라고 말하며 에 를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는지 측정하는
버보딩의 이점을 네 가지로 정리했다. 첫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업무수행에 소
째, 구성원들이 일터에서 행복감을 느끼 요된 시간을 측정하고, 결과물을 분석하
며 업무, 소통, 학습에 임하므로 그들과 고, 미진했던 부분을 확인하는 등의 작업
더욱 오래 함께할 수 있다. 둘째, 구성원 이 필요하다. 셋째, 직원 이탈률 측정이
들은 팀의 성과 창출에 공헌하면서 개인 다. 온보딩은 직원들이 회사에 성공적으
의 성장도 이룰 수 있다. 셋째, 지속적으 로 적응하고 나아가 오래 머무르며 성과
로 역량을 개발하므로 경영환경과 노동 를 내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시장 변화에 더욱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 신입사원들이 이탈한 비율을 통해서도
다. 넷째, 학습한 결과물을 바탕으로 더 간접적으로 온보딩의 효과를 확인할 수
욱 새롭고 혁신적인 아이템을 찾아낼 확 있다. 넷째, 문화 적합성이다. 회사마다
AUGUST HRD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