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월간HRD 2023년 8월호
P. 18

ISSUE






























                 ▲ 기업들은 평생직장이 사라진 시대에서 직원들의 적응력과 학습민첩성을 높여주지 못하면 퇴사라는 악재를 맞을 수 있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 등의 형태로 이뤄              서 일보다 못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생각
                 졌다. 온보딩의 경우 출근하기 전 회사              할 때 바로 퇴사하는 경우가 과거에 비해
                 를 비롯해 앞으로 그들이 맡게 될 것으              잦아졌다. 기존 구성원도 불확실성이 일
                 로 예상되는 역할과 책임 등을 설명해주              상임을 체감하며 회사가 양질의 콘텐츠
                 는 예비 온보딩 단계를 거치며, 출근 첫             에 기반해서 꾸준히 역량과 경력을 개발
                 날에는 같은 부서에서 일할 동료들과 대              하는 데 필요한 교육을 제공해주길 원한
                 면하고, 회사 곳곳을 둘러보고, 다양한              다. 이런 니즈가 충족되지 않으면 진지하
                 제도와 프로그램을 소개받는 시간을 제               게 퇴사를 고민한다. 더욱이 지금은 원하
                 공한다. 이후 단계가 바로 OJT다. 온보            는 인재를 구하기가 매우 어려워졌고, 젊
                 딩과 OJT는 기업들에 따라 다르긴 하지             은 인구도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그런
                 만 보통 입사 초기에 약 90일 동안 시행            측면에서 주목해야 하는 개념이 온보딩
                 됐었다. 그런데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               (Onboarding)에 지속가능성을 더한 ‘에버
                 다. LG경영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신             보딩(Everboarding)’이다.
                 입사원들이 조직문화, 제도와 프로그램,
                 일하는 방식 등과 관련해서 초기에 필요              VUCA 시대에 대응할 HRD 프랙티스,
                 한 것들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있다고              Ever + Onboarding
                 느끼거나, 한 명의 구성원이자 사람으로              에버보딩은 ‘배움엔 끝이 없다’는 격언처


                 16  HRD MAGAZINE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