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월간HRD 2023년 8월호
P. 15

또한, 직장학습은 실시간 피드백 제공에도 유리합니다. 실제 업무에 직접적으로 참여
                     하면서 멘토나 상급자로부터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수를
                     빠르게 개선하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 반면, 오프-직장학습은 외부 교육기관과의 협
                     력이 필요하며, 교육을 위한 장소와 시간 확보에도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듭니다. 하지만
                     직장학습은 현장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면, 기업교육에서 직장학습 중심으로의 전환은 기업과 직원 모두에게 많은 이
                     점을 제공합니다.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전 경험과 역량 강화는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업은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발맞춰 직장학습 중심 교육의 전환을
                     다음의 3가지 전략에 따라 적극 추진해야 합니다.
                     첫째, 교육과 실무가 능동적으로 연결돼야 합니다. 교육과정을 기업의 실제 업무 상황
                     에 부합하도록 설계해서 직원들이 일하듯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학습 계획을 수립
                     할 때는 조직의 전략과 목표를 고려하여 직장학습을 포함한 적절한 교육프로그램을 구
                     성해야 합니다.
                     둘째, 직장학습에는 멘토와 멘티, 선배와 후배 간의 지속적인 지원과 피드백이 필요합
                     니다. 따라서 기업은 멘토링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새로 합류한 직원들에게 실무적 지
                     침과 조언을 제공하고, 실전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셋째, 기업의 경영진과 리더들은 직장학습의 중요성과 가치를 직원들에게 인식시키고,
                     직장학습의 성과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피드백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직원들의 성장과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합니다.
                     이러한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 한국 기업교육에서 직장학습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조직의 성과와 직원들의 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엄준하 발행인
                                 본지를 창간한 엄준하 발행인은 국내 인적자원개발 발전을 고민하고 연구하며 실천하는 HRD
                                 선각자이다. HRD를 통한 사람중심경영과 사람 사는 세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인력개발학박사로서
                                 한국HRD협회 회장, 일생경영학교 이사장을 맡고 있다.


                                                                          AUGUST HRD  13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