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4 - 월간HRD 2023년 8월호
P. 144
HRDer MESSAGE
거부할 수 없는 대퇴사 시대,
HRD 부서의 인재육성 전략과 과제
글_임현 태광산업 인재육성팀 팀장
얼마 전 누군가로부터 ‘많은 직원이 퇴 먼저, 대퇴사 시대에서 HRD를 주목해
사하고 결원 보충도 제때 이뤄지지 않 야 하는 이유는 경쟁 환경 변화에 따른
는 상황에서 인재육성팀은 할 일이 별 인재 유지와 발전의 필요성이다. 기업
로 없을 것 같다’라는 농담 반 진담 반의 들은 산업 구조 변화와 급변하는 시장
말을 들었다. 기가 차는 말이었지만, 완 동향에 대응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전히 틀린 말도 아니었다. 이럴 때일수 과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이때 직원들
록 HRD 부서가 기존의 체계를 고수하 은 새로운 역량과 기술을 습득하고 발전
거나, 인재육성 전략의 변화를 도모하지 해야 하는데, 여기에서 HRD가 필수적
않는다면 실제로 존재마저도 매우 위태 인 역할을 수행한다. HRD는 교육, 개
로울 수 있다. 발, 코칭 등을 통해 조직 내에 지속적인
인재육성은 기업의 경쟁력 확보와 지속 학습 문화를 조성하고, 직원들의 성장을
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으로 인식되고 있 지원하는 역할을 맡기 때문이다.
다. 특히, 현재의 ‘대퇴사 시대’에서는 기 다음으로, HRD 중심 변화 도모를 위한
업들이 직원들의 성장과 개발에 더욱 높 사례와 키워드를 알아보자.
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관련해서 이 첫째로 ‘맞춤형 학습’이 있다. 대퇴사 시
글에서는 HRD의 중요성을 기반으로 대 대에서는 직원들의 다양한 역량과 관심
퇴사 시대에 필요한 인재육성 전략을 살 분야를 고려한 맞춤형 학습이 필요하다.
펴보고자 한다. 개별 직원의 역량개발 방향을 파악하고,
142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