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7 - 월간HRD 2023년 8월호
P. 127

는데 문제해결 능력이 필요한 이유는 효              필요한데 이는 자동화의 영역이다. 또
                     율적인 업무 수행, 복잡한 문제에 대한              한, 업무와 관련된 수많은 데이터를 수
                     대응, 효과적인 의사결정에 따른 리더               집하고 분석한 후 가시화하는 방법은 문
                     십, 문제 식별과 발견을 통한 원활한 소             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데이터
                     통과 협업 도모 등 다양한 요소에서 찾              수집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전
                     을 수 있다. 어려운 문제를 다루고 핵심             처리를 통해 보완하고, 분석을 통해 인
                     을 짚어가는 문제분해와 추상화는 컴퓨               사이트를 발견하며, 표현을 통해 설명
                     팅 사고력 중에서도 가장 근본적인 문제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은 데이터의
                     해결 방안이라고 볼 수 있다. 문제 자체             과학적 처리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에 관해 고찰하고 핵심을 파악할 수 있              생성형 인공지능의 출현으로 인해 디지
                     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은 모든 문제해결              털 세상은 놀랍도록 변화하고 있다. 수
                     의 시작점이라고 볼 수 있다. 복잡한 문             많은 곳에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이
                     제일수록 여러 단계를 거쳐서 목표 단계              적용됨으로써 학문 간의 경계가 흐릿해
                     로 접근하게 되며, 이러한 단계들은 상              지고 있으며, 이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호 간에 위계를 가질 수 있다. 알고리즘             은 생활 속에 깊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
                     과 절차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논리적              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로 인해 비즈니
                     으로 절차를 연결하여 목표 단계로 접근              스 환경에서 최신의 컴퓨팅 과학을 도입
                     하는데 필요한 사고력 요소이며, 상황에              하지 못한다면 기업의 존립이 위협받을
                     따라서는 병렬화를 통해 동시에 진행하               수 있다. 개인의 역량이 중요해지고 있
                     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는 이러한 시기에 컴퓨팅 사고력은 우리
                     것이 필요하기도 하다. 디지털 환경에               개인의 가치를 높여주고 인공지능과 협
                     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로               력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역량이
                     구현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능력이              라고 확신한다.














                                 안성진 교수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교수/공학박사. 성균관대학교 입학처장, 사범대학 학장,
                                 교육대학원 원장, 교육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정보통신기술사를 보유하고 있는 연구자로
                                 SW·AI교육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인공지능  컴퓨터처럼  생각하기』,
                                 『정보통신배움터』, 『지능정보사회와 AI윤리』, 『연구보안론』 등이 있다.

                                                                         AUGUST HRD  125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