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6 - 월간HRD 2023년 8월호
P. 126

COMPUTATIONAL THINKING




























                 ▲  디지털 환경에서의 체계적인 문제해결 접근방법인 컴퓨팅 사고력은 학습을 통해 습득할 수 있다.





                 해하는 단계다. 모든 일의 시작은 항상              마지막 단계는 최종 결정에 대한 평가라
                 원점에서 출발하여 문제를 자세히 들여               고 할 수 있다. 정말 원하는 대로 해결
                 다보는 데 있다. 주어진 문제에 집중하              책을 찾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할
                 여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              수 있다. 평가 결과에 따라서 문제의 식
                 하고, 관련된 속성과 데이터를 찾아내는              별과 이해 단계나 해결책 선택 과정으로
                 것이다. 간혹 문제가 모호하다면 해결               돌아가서 필요한 부분을 조정할 경우도
                 방안을 찾아가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있다. 이러한 일련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문제를 명확화하는 작업도 하게 된다.               컴퓨팅 사고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문제를 표현하거나 이해하기 위해              컴퓨팅  사고의  구성요소는  문헌이나
                 모델링이라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주장하는 사람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
                 다음으로는,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              가 있다. 여기서는 ISTE(International
                 라보고, 여러 가지 해결책들을 고려하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는 단계다. 이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              와 CSTA(Computer Science Teachers
                 으고, 여러 해결방안 중에서 최선의 해              Association)에서 제시한 컴퓨팅 사고력
                 결책을 선택하는 능력과 관계된다. 물론              의 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최적의 해결방안을 구하는 것이 좋겠지               이는 문제분해, 추상화, 알고리즘과 절
                 만, 현재 상태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최             차, 병렬화, 자동화, 데이터 수집/분석/
                 선의 해결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표현 등으로 구성된다. 업무를 해결하


                 124  HRD MAGAZINE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