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1 - 월간HRD 2023년 8월호
P. 111

AI와 전통적인 HRD 접근법을 적절히 결합하여
                                  직원경험을 개인화한다면 보다 참여도가 높고

                             생산적으로 일하고 학습하는 문화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직원들의 개인적인 성취 목표를 긴밀히               하여, 개인의 역량 강화와 조직의 성과
                     연계시킬 수 있다. 아울러 AI를 활용해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자동화를
                     서 직원들의 신체적, 정서적 건강을 지              통해 보다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
                     원할 수 있다. 직원 건강관리는 긍정적              고, 데이터 기반 정확한 인사이트를 통
                     업무환경 조성에 필수적이다. AI를 통해             해 적절한 HR 조치가 가능해질 것이다.
                     이를 관리하면 고용과 생산성에 있어 지              AI는 HRD에서 지속적으로 핵심 역할을
                     속적인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직
                     종합하면 실시간 분석, 자연어 처리, 게             원 참여와 HR 업무 혁신의 과정에서 AI
                     임화된 AI 기술을 활용하고, 직원 정서             를 적정하게 활용하여 개인과 조직의 성
                     및 건강 지원에 AI를 활용하는 전략을              과를 높이는 것이 숙제다. 이를 위해서
                     통해 직원 참여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는 직원의 요구와 조직의 목표를 이해해
                     그리고 도입 과정에서 조심스럽게 직원               서 AI를 조직의 방향성에 맞게 적용하는
                     들의 반응을 점검하고 사내 윤리 규정을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HRD 분야 전문
                     수립해가며 AI를 도입한다면 더 큰 효과             가들의 AI 기반으로 디지털 전환을 모색
                     를 볼 수 있을 것이다.                      하고 실제적인 변화를 만들어가는 사례
                     앞으로 AI는 직원 참여와 몰입을 극대화             연구들이 지속돼야 할 것이다.







                                 송은정 교수
                                 동국대학교 AI융합교육전공 교수로 교육 분야 인공지능과 데이터 과학을 가르친다. Microsoft 교육팀
                                 연구원, Google 교육팀 부장을 역임했으며 글로벌 기업과 대학에 이르기까지 교육 현장과 IT업계를
                                 아우르는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과 교육을 연결하는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공저로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24』가 있다.

                                                                         AUGUST HRD  109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