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4 - 월간HRD 2023년 8월호
P. 104

TECHNOLOGY INSIGHT





                 장점을 취하되 단점은 반드시 보완하자

                 교육현장에 챗GPT 등


                 생성형 AI 활용 방안





                 글_문형남 숙명여자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교수




                    최근 챗GPT로 대변되는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생성형 AI
                    는 기업과 학교 등을 넘어 거의 모든 분야에서 매우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

                    으며, 에듀테크에 있어서도 유망한 기술로써 급부상하고 있다. 생성형 AI는
                    단점과 부작용도 있지만, 장점이 더 많다. 그러니 단점과 부작용을 보완하면
                    서 잘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google.com), 빙(https://www.bing.
                  글 싣는 순서
                                                    com) 등은 자연어 이해와 생성 능력을
                  1. 10대 유망 기술Ⅰ(5대(1~5위) 유망 기술)     바탕으로 다양한 질문에 대답하고 상호
                  2. 10대 유망 기술Ⅱ(6~10위 유망 기술)        작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다. 이번
                  3.  교육현장에 챗GPT 등 생성형 AI 활용 방안     호에서는 교육 현장에서 생성형 AI를 활
                  4.  에듀테크 트랜스포메이션의 발전 방향과          용하는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응                              생성형 AI는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 AI 채팅 봇(챗
                                                    봇:chatbot, chatterbot)으로, 텍스트와
                 인공지능(AI) 기술은 현대 사회에서 중             코드의 방대한 데이터 세트로 훈련됐다.
                 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교육 분야              생성형 AI는 텍스트·이미지·영상 등
                 에서도 그 영향력이 크게 증가하고 있               을 생성하고, 언어를 번역하고, 다양하
                 다. 생성형 AI 모델인 챗GPT(https://        고 창의적인 콘텐츠를 작성하고, 유익한
                 chat.openai.com), 바드(https://bard.  방식으로 질문에 답변할 수 있다.


                 102  HRD MAGAZINE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