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1 - 월간HRD 2023년 8월호
P. 101
AI Insight Talk
「AI Insight Talk」에 초청된 연사는 『챗
GPT 빅웨이브』 저자인 김지현 SK경제
경영연구소 부사장과 최재홍 강릉원주
대학교 교수였다. 세미나 시작에 앞서
최재홍 교수는 “기업 입장에서 지금의
AI 시대를 이끄는 챗GPT와 그 기반인
LLM(Large Language Model, 대규모 언
어모델)을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고자
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의 변화
가 단순한 이슈로 끝날지 아니면 하나의
생태계를 만들게 될지를 중심으로 기업
들이 앞으로 어떤 행보를 보여야 하는지
논의하겠다.”라며 세미나의 방향성을 짚
▲ 최재홍 강릉원주대학교 교수가 이번 세미나의 취지를 설명
어줬다. 이어서 김지현 부사장이 챗GPT 하고 있다.
와 LLM이 가져온 변화와 현안을 중심으
로 강연을 시작했다. 아울러 김 부사장은 협업솔루션 ‘슬랙’의
김지현 부사장은 도서를 발행한 올해 5 연구포털에 앤스로픽이 개발한 생성형
월 이후 시간이 점점 흐르면서 챗GPT를 AI ‘클로드’가 도입된 사례를 소개했다.
향한 관점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그는 슬랙의 클로드는 수많은 양의 논문을 번
“처음에는 결국 검색을 위한 도구인 챗 역하고, 요약할 수 있으며, 결과물을 여
GPT가 다양한 관점을 접하고 싶어 하는 러 관점에서 분석하며 질문할 수 있고,
사람들의 욕구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 질문의 바탕이 된 사이트도 추적할 수
할 것으로 예상했다.”라고 털어놨다. 그 있다. 이런 변화는 사람의 일에 편의성
러나 지금 챗GPT엔 외부의 정보와 서비 을 줄 뿐만 아니라 남다른 인사이트를
스를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 얻으며 새로운 변화도 시도해볼 수 있도
(plugin) 기능이 추가됐다. 또한, 챗GPT 록 돕는다. 여기에서 김 부사장은 “방대
는 정보를 찾아내고, 분석하고, 결과를 한 양의 자연언어를 처리해 사람처럼 응
추론해주는 것에 더해 데이터 시각화라 답할 수 있는, 생성형 AI의 핵심인 LLM
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 을 주목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메타
다. 그런 만큼 김지현 부사장은 “서비스 의 라마, 아마존의 타이탄 등의 LLM은
의 형태가 변화하면 일상의 경험이 바뀌 서비스의 차별화와 경쟁력을 공고히 하
고, 이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고 있으며 접근성도 좋아서 기업들의 보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체감하고 있 안 문제도 해결해주고 있다. 이어서 김
다.”라고 말했다. 부사장은 “모바일 혁명의 기반은 수많
AUGUST HRD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