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5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95
플립러닝, 하이브리드 러닝을 지원하는 유 자의 성공적인 학습목표 도달을 지원하
연한 학습환경: 꼭 학습분석이나 AI와 같 는 개별화 학습은 미래교육이 지향해야
은 하이테크를 활용하지 않더라도, 교수 할 교육의 목표인 동시에 그 목표에 도
자가 사전에 핵심적인 수업내용이나 관 달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다. 앞서 살
련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학습 펴본 바와 같이, 기술적 혁신은 학습자
자들은 자신의 속도와 필요에 맞추어 학 중심의 교육을 실천하고 맞춤형 학습을
습하고 수업시간은 질문에 대한 답변이 통해 모든 학습자의 성공을 지원하는 중
나 심층토론, 프로젝트 수행과 같은 학 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개별
습자 중심의 활동으로 할애하는 플립러 화 학습을 필두로 현장기반 학습, 융합
닝 방식은 학습자에게 필요한 유연성을 적 학습, 적응적 학습이라는 미래학습의
제공하면서 개별화 학습을 지원할 수 있 4요소를 제안하고 있는 PACA 교수학
는 유용한 교수학습 방식이다. 또한, 학 습 모형이 미래교육의 패러다임으로 가
습자의 학습환경 및 여건, 선호도에 따 장 강조하는 것은 교육의 중심에 학습자
라 온라인과 오프라인 참여방식을 자유 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개별화 학습
롭게 선택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러닝 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
역시 학습자가 자신의 요구에 따라 보다 은 오직 학습자의 잠재력을 최대로 이끌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유연한 학습 어내는 데 있어서만이 아니라, 포용적이
환경을 제공한다. 고 지속가능한 미래사회를 구축하는 데
학습자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모든 학습 에도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참고 자료]
이지연 외(2022). 예비교사의 미래역량 강화를 위한 PACA 미래형 교수학습 모델 개발. 교육부·한국과학창의
재단 과제보고.
임규연, 임지영, 진명화 (2021). 테크놀로지 기반 개별화 학습에 대한 체계적 문헌 분석: 2011-2020년 국내연
구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7(3), 525-559.
Bloom, B.(1984). The 2 sigma problem: The search for methods of group instruction as effective as one-to-
one tutoring. Educational Researcher, 13(6), 4-16.
EDUCAUSE (2020). 2020 Educause horizon report: Teaching and learning edition. retrieved Jan 14, 2023,
from chrome-extension://efaidnbmnnnibpcajpcglc lefindmkaj/https://library.educause.edu/-/media/files/
library/2020/3/2020_horizon_report_pdf.pdf?la=en&hash=08A92C17998E8113BCB15DCA7BA1F467F303
BA80
이지연 교수
인하대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한국과학창의재단 미래형 교수·학습모델 개발지원사업단 단장이며,
교육부 이러닝 세계화 사업(LEAD) 전문가그룹의 자문위원이다. 한국교육공학회 학술지 편집위원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全부회장이자 現이사로 활동 중이다. 관심 연구 분야는 미래교육과 학교혁신,
테크놀로지 기반 역량중심 수업의 설계와 평가다.
JUNE HRD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