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3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93
▲ PACA 미래형 교수학습 모형. (출처: 이지연 외, 2022)
학습하더라도 학습자마다 배움의 속도, 에듀테크와 혁신적 교수방법은 어떻게
흥미, 선호하는 학습양식, 사전 학습경 개별화 학습을 지원하는가?
험은 저마다 다르다. 교육현장에서 개별화 학습을 구현하기
강의식 수업과 1:1 개별지도의 교육효 위해서는 다음의 네 가지 조건이 충족되
과가 표준편차[Sigma]의 2배만큼 차이 어야 한다. 첫째, 학습자의 사전지식 정
가 난다는 의미에서 Bloom이 ‘2-Sigma 도 또는 성취수준을 파악하여 적합한 학
난제’라고 명명한 1984년 연구에 따르 습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사전진단과 요
면 1:1 개별지도를 받은 학생들의 성취 구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학습
도 평균은 학급인원 30명인 교실 강의수 자의 수준을 고려한 과제 및 수행이 이
업의 상위 2%에 해당하는 점수와 동일 루어질 수 있도록 수준별 학습활동을 계
하게 나타났다. 교육여건 및 방법에 따 획하여 제공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른 학업성취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 선택권 확대를 위해 개인별 수준과 학
며 개별화 학습의 학습효과를 실증적으 습특성을 반영한 유연한 학습환경을 제
로 입증한 Bloom의 연구결과는 학습자 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넷째, 학습 진
별로 적절한 학습환경과 충분한 학습시 행과정을 모니터링하고 학습자 개인 또
간이 주어진다면 모든 학생이 주어진 학 는 모둠별 수준에 따른 맞춤형 피드백
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과 준거지향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JUNE HRD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