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0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90
MANAGEMENT SKILLS
▲ 기업가치 기반 장기보상 방식은 이전에 없던 완전히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상에 따른 보상 혜택을 크게 줄 수 있기 인재 이탈을 막고 중장기 기업가치 제고
때문에 사업 초기 단계에서 많이 쓰이는 에 신경을 쓰도록 유도한다.
편이다. 기업가치 기반의 장기보상 방식은 이전
성장하는 단계에 접어든 기업들은 조금 에 없던 완전히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다른 특징을 보인다. 이 단계에 있는 대 비즈니스 성장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부분의 기업은 상장을 통해 한 단계 나 여러 기업이 활발히 활용하는 보편적인
아간 성장을 모색한다. 주식시장 상장이 프랙티스라 할 수 있다. 활용하는 방식
가시화될수록 주식가치가 실제 공모가 도 각 기업의 비즈니스 상황에 맞춰, 주
에 근접하는 만큼 스톡옵션 행사가를 사 식보상 또는 주가에 기반한 현금보상,
업 초기보다 높게 책정할 수밖에 없다. 장기적인 성과목표 달성도에 따라 차등
결국 스톡옵션의 보상 매력이 감소하면 하는 방식 등 매우 다양하다는 것을 확
서 스톡옵션보다는 실물 주식을 활용한 인할 수 있다.
방식이 늘어나는 게 특징이다. 실물 주 장기보상 플랜을 적용할 때 중요한 포인
식 중에선 3년 이상 양도가 제한된 주식 트는 조직이 처한 경영환경에 따라 활
인 RSU(Restricted Stock Unit)를 통해 용 가능한 옵션을 고민해야 한다는 점이
88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