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7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87
화적 공간에 해당하는데, 구성원들은 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경험이나, 지난 5
슷한 맥락이나 불만이 있는 사람들끼리 개월 동안 스마트워크 플레이스를 이용
모여서 나누고 공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하는 다른 사람들에 비해 자신과 소속된
강하다. 때로는 디스코드나 블라인드에 팀의 생산성지수가 높아졌다는 것을 물
서, 때로는 오픈 채팅방에서 사람들끼리 리적 수치를 통해 보여주는 경험이 해당
모인다. 그저 필요에 따라 스마트워크 할 수 있다.
플레이스를 이용하는 건 우리 구성원에 마지막으로 시스템적 경험이다. 이것은
게 끌리는 경험이 되기 힘들다. 그에 반 외부 생태계의 서비스나 데이터와의 연
해 새로운 경험을 주는 공간, 혼자 일하 결로 인해 더욱 커진다. 예를 들면 챗
는 상황을 힘들어하고 도움이 필요한 사 GPT로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교
람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의미의 공간’으 육 프로그램과의 연결, 스마트워크 플레
로서의 스마트워크 플레이스는 우리 구 이스 근무로 인해 바뀐 통근버스나 쉐이
성원들에게 굉장한 끌림이 될 수 있다. 링카를 예약하는 상황과의 연결, 근처에
그러니 특정 pain point를 해결하기 위해 서 점심을 먹을 수 있는 식당들과의 연
특정 커뮤니티에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 결 등은 구성원에게 더 크고 도움이 되
를 해결하는 경험을 선사할 스마트워크 는 경험으로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스를 설계해보자. 지금은 연결과 확장이 중요한 세상이다.
다음은 더 선명한 물리적인 세계다. 선 물론 모든 연결은 단숨에 만들어지거나
명한 경험은 굳이 복잡한 알고리즘이 들 즉각적인 구성원 가치로 창출될 수 있
어있지 않아도 우리 구성원이 시각적으 는 것은 아니다. 다만, 앞으로 스마트워
로 풍부하게 정보를 접하도록 하는 경험 크 플레이스를 바라볼 때는 우리 구성원
이다. 예를 들면 프로젝트 진행 상황, 업 에게 중요한 ‘경험의 플랫폼’으로 바라보
무 생산성, 팀원들이나 상사와의 상호 자. 그 플랫폼 속에서 우리 구성원이 정
작용 등이 있다. 언급한 것들에 관해 구 신적인 세계, 물리적인 세계, 문화적인
체적으로 설명하면 특정 구성원에게 지 세계, 시스템적인 세계에 속하는 데이
난 5개월 동안 업무 생산성이 점점 좋아 터와 연결될 때 끌리는 직원경험을 얻을
지고 있는 것을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차경진 교수
한국경영정보학회,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부회장이며, 여러 경영학 학회지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국내 대기업, 공공기관 등에 디지털/데이터 전략 관련 자문을 제공하고
있으며 프로젝트도 다수 수행했다. 저서 『토닥토닥 정보시스템(공저)』은 2015년 세종도서 학술부문에
선정됐고, 『데이터로 경험을 디자인하라』는 교보문고 경영분야 1위 베스트셀러를 차지했다.
JUNE HRD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