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85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데, 1가지 문제나 왼쪽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적인
현상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그 문제와 공간에서 고객의 생각, 성격, 가치관, 신
현상을 살펴볼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 념 등을 알아볼 수 있다. 오른쪽에선 눈
이라고 할 수 있다. 본격적인 시작에 앞 에 보이고 측정 가능한 차경진의 키, 몸
서, 통합 이론의 기본을 따라가보면 사 무게, 안경, 머리 색깔, 옷 색깔 등을 알
람의 뇌는 2가지 축을 기준으로 4가지 아볼 수 있을 것이다.
차원(dimension)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이번에는 가로축을 살펴보자. 가로축을
되어 있다. 통합 이론에서 바라보는 세 기준으로 위쪽은 개별적인 또는 개인적
상은 대극(polarity)으로 이뤄져 있다. 선 인 차원을 뜻하며, 아래쪽은 집단적 또
과 악이 있으면, 여름과 겨울이 있고, 보 는 복수의 세계를 뜻한다. 쉽게 생각하
이지 않는 주관적인 세계와 보이는 객관 면 위쪽은 나무를 하나하나 개별적으로
적인 세계가 있는 것이다. 보는 세상이고, 아래쪽은 나무가 모여
먼저 상단 그림의 세로축을 살펴보자. 있는 숲을 보는 세상이라 할 수 있다. 예
세로축을 기준으로 왼편은 눈에 보이지 를 들어 차경진이 혼자 있지 않고 다른
않는 세계, 즉 주관적이고 정신적인 세 교수들과 함께 있는 집단적인 세계에 있
계다. 반대로 세로축의 오른편은 만져볼 을 때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들
수 있고 측정 가능한 객관적인 세계라고 이 있다. 왼쪽에 있는 내면의 세계에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경진’이라는 고 교수라는 조직에서의 팀워크, 신뢰, 공
객을 이해하기 위해 세로축을 중심으로 감대 등이 있을 것이고, 오른쪽 외면의
JUNE HRD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