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1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81

마이크로러닝의 ‘Why to How’               활용하길 원하는 HRD 담당자들에게 다
                     ‘한입 크기 학습(bite-sized learning)’. 마  음의 제언을 건넸다.
 마이크로러닝의 A to Z      이크로러닝을 상징하는 문구다. 김민정               첫째, 명확한 준거(목표, 핵심 내용, 수
                                                        행 증진, 피드백 등)에 따른 교육 내용
                     단국대학교  교수는 “10분 이내의 1가지
                     개념을 담은 콘텐츠로 학습하는 것이 대              선정이다. 둘째, 학습자의 특성과 개발
                     표적이며 TED, 세바시, 카드뉴스, 지식            가능성 및 효과성과 효율성을 고려한 적
                     채널 e, 인포그래픽스, 블로그의 글 등             절한 전달 방법 결정이다. 셋째, 자발적
                     을 떠올리면 된다.”라고 설명했다. 기업             학습이 유지되는 장치 활용이다. 사례는
                     교육에서는 월마트(Wal-Mart)의 ‘spark        강제적인 학습 규칙, 동료학습, 의욕과
                     city’가 대표적이다. 월마트 구성원은 게           자발성을 높이는 퍼실리테이션 등이다.
                     임을 하듯 3분-5분 동안 안전에 관한 문            넷째, 오프라인 교육으로의 확장이다.
                     제를 풀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고, 동             김 교수는 “OJT를 보완하는 온라인 교
                     료들은 어떻게 학습하는지 모니터링도                육이나 온라인으로 학습한 내용을 오프
                     하며, 작업장에서 일할 때 유의해야 하              라인 교육장에서 심화학습하는 방향으
                     는 부분을 재미있게 학습한다. 그 결과              로 활용하면 마이크로러닝의 효과는 더
                     안전문제는 54% 감소했다. 마이크로러              욱 올라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닝의 본질이 제대로 구현된 사례다.
                     김민정 교수는 ‘마이크로러닝, 왜 해               Best Practice 1_LG전자
                     야 하는가?’에 대한 답은 ‘Targeted’,         기조강연 이후에는 3개의 마이크로러닝
                     ‘Just-in-time’, ‘Retention-boosting’,   Practice가 소개됐다. 첫 번째는 LG전자
                     ‘Mobile-friendly’, ‘Engaging’, ‘Cost-  였다. 이은아 SW역량강화팀 책임은 “현
                     effective’에 있다고 짚어줬다. 시간이 짧        업에 유용한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제공
                     은 만큼 대상이 명확하고, 잦은 반복이              해서 사내강사들의 부담을 줄이고, 학습
                     가능하기에 시간이 지날수록 배운 내용               전이 효과도 높이고자 작년 4월부터 10
                     을 잊는 인간행동을 보완해주고, 온라인              월까지 14회에 걸쳐 팀 차원에서 마이
                     콘텐츠 중심이기에 모바일 친화적이며,               크로러닝을 학습했고, 이후 ‘한입쏙 시
                     게임을 녹여내면 강력한 몰입으로 이어               리즈’를 개발해서 운영하고 있다.”라고
                     지고, 큰 비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              말했다. ‘한입쏙 시리즈’의 지향점은 ‘상
                     다. 아울러 김민정 교수는 “마이크로러              시(필요할 때 어디서나)’, ‘한입(15분 이
                     닝을 위한 콘텐츠는 ‘간명함’, ‘학습자 중           하)’, ‘실행(바로 실행에 옮겨 성취 가능
                     심’, ‘접속/이용의 용이성’, ‘몰입’, ‘맥락’,      한 지식)’이었다. 그리고 콘텐츠는 사전
                     ‘실생활 사례’, ‘알기 쉬운 설명’이 핵심임          학습으로 기본적인 지식과 스킬을 습득
                     을 잊지 말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다            하는 ‘준비형’, 이후에 더욱 깊이 있는 내
                     음으로 그는 마이크로러닝을 설계해서                용을 학습하는 ‘심화형’, 학습자가 바로


                                                                            JUNE HRD  79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