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67

우리 부서는 HRD 프로그램에 대한 니즈에 따라                우리 부서는 HRD 프로그램이
                   평가수준(만족도, 학습성취도, 현업적용도, 경영 조직성과 향상에 기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평가
                           성과 기여도)을 결정한다.             (예: ROI, 추세선 분석, 효과추정 등)를 실시한다.

















                         ● 전혀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보통이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어떤 평            뜻이다.
                     가방법에든 장점이 있고 단점도 있다.               넷째, ‘우리 부서는 HRD 프로그램이 조
                     따라서 트렌드에 지나치게 휩쓸리지 않               직성과 향상에 기여하는지 확인하기 위
                     고 (교육)목표를 중시하며 평가방법을               한 평가(ROI, 추세선 분석, 효과추정
                     선택해서 활용해야 한다.                      등)를 실시한다’ 항목에서는 ‘그렇지 않
                     셋째, ‘우리 부서는 HRD 프로그램에 대            다(28%)’, ‘보통이다(25.3%)’, ‘그렇다
                     한 니즈에 따라 평가수준(만족도, 학습              (20.1%)’, ‘전혀 그렇지 않다(15%)’, ‘매
                     성취도, 현업적용도, 경영성과 기여도)              우 그렇다(11.5%)’라는 의견을 확인했
                     을 결정한다’ 항목에서 응답자들은 ‘그렇             다. 여타 항목과는 다르게 ‘그렇지 않다’
                     다(30%)’, ‘보통이다(26.4%)’, ‘그렇지 않     라는 답변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
                     다(17.8%)’, ‘매우 그렇다(15.6%)’, ‘전혀    다. ‘전혀 그렇지 않다’라는 답변과 합해
                     그렇지 않다(10.3%)’ 순으로 각자의 의           보면 부정적인 의견이 상당하다. 이는
                     견을 보냈다. HRD 활동을 조직과 구성             조직성과 향상과의 연계 측면에서 HRD
                     원의 니즈에 따라 수행하는 것이 보통이              부서의 활동이 미흡하다는 의미로도 해
                     다. 답변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니             석할 수 있다. 각성과 개선이 필요한 부
                     즈에만 휩쓸리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야               분이다. 기업에서 HRD 기능이 존재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맞춤형’의             하는 이유는 ‘성과와의 연계’다. 전략적
                     부정적인 그림자를 볼 줄 알아야 한다는              HRD가 언제나 강조되는 배경이다.


                                                                            JUNE HRD  65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