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57

우리 조직의 HRD는 전략적 파트너로서            우리 조직의 HRD는 경영전략 방향 수립을
                      경영진들과 활발히 의사소통하고 있다.             위하여 지역, 국가, 글로벌 차원의 비즈니스
                                                        이슈 등 관련 환경과 조직 내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 전혀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보통이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렇다’를 합하면 과반수를 넘지만 경영전              셋째, ‘우리 조직의 HRD는 경영전략 방
                     략과의 연계는 모든 부서의 지상과제다.              향 수립을 위해 지역, 국가, 글로벌 차원
                     따라서 전사적 관점에서 HRD 활동을               의 비즈니스 이슈 등 관련 환경과 조직
                     바라보며 개선점을 찾아 실행해야 한다.              내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항목
                     둘째, ‘우리 조직의 HRD는 전략적 파             이다. 여기에서는 ‘보통이다(27.7%)’, 그
                     트너로서 경영진과 활발히 의사소통하                렇다(27.3%)’, ‘그렇지 않다(17.8%)’, ‘매
                     고 있다’ 항목이다. 여기에서 응답자들              우 그렇다(15.9%)’, ‘전혀 그렇지 않다
                     은 ‘그렇다(31.5%)’, ‘보통이다(23.6%)’,     (11.4%)’ 순으로 답변이 구분됐다. 최근
                     ‘매우  그렇다(18.1%)’,  ‘그렇지  않다        2년간의 HRD 활동을 묻는 질문인 만큼
                     (16.3%)’, ‘전혀 그렇지 않다(10.4%)’ 순     해당 답변은 부정적인 시선으로 보기 어
                     으로 의견을 보냈다. 마찬가지로 ‘그렇              렵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면
                     다’와 ‘매우 그렇다’라는 답변의 합이 절            소통 자체가 불가능한 시기가 있었기 때
                     반 이상이다. 그러나 HRD 위상 제고와             문이다. 특히 오프라인 교육이 주를 이
                     저변 확대 측면에서 더욱 활발한 소통이              뤘던 HRD 분야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요구된다. 각계의 HRD 전문가들이 과              은 그야말로 시련이었다. 그 가운데서도
                     거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입을 모아 CEO             HRD 담당자들은 온라인 테크놀로지를
                     전략적 파트너로 자리해야 한다고 제언               활용해서 교육을 비롯해 글로벌 동향을
                     하는 배경이다.                           파악하는 데 전념하고 있었다.


                                                                            JUNE HRD  55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