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39

▲  김진해 교수는 “교육이나 배움의 목표는 내적 균열을 경험하는 것이며, 기존의 뻔한 관계도 재정립해봐야 합니다.”라며 ‘평어수업’에
                      담은 교육관을 공유했다.




                     담당하는 HRD 부서에도 매우 중요하               100% 수치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울
                     다. 관련해서 김진해 교수는 “인적자원              러 그는 “상급자일수록 말을 줄여야 하
                     (HR)이라고 하면 기업에서 요구하는 능             고, 판단을 조금 늦게 해줘야 합니다.”라
                     력을 온전히 갖춘 사람을 뽑아서 그 능              고 제언했다. 상급자의 말은 그 자체로
                     력을 발휘하게 하고, 그렇지 못하면 바              하급자에게 압박감을 줄 수 있고, 빠른
                     로 내보낸다는 의미로 들립니다.”라는               판단은 조급함을 심어주어 큰 실수로 이
                     의견을 밝혔다. 이어서 그는 “끊임없이              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지표를 갖고 역량과 성과를 판단하면 회              삶은 변수의 집합체다. 사람은 누구나
                     사와 구성원 모두 고달프지 않겠어요?”              우여곡절을 겪고 좌충우돌하기 마련이
                     라고 되물으며 “빠르게 성과를 내는 사              다. 이때 올바른 생각과 자세를 견지하
                     람을 우대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조금 미              면 스스로를 도야해서 성장할 수 있다.
                     흡하거나 엉뚱하고 예외적인 모습을 보               이질성과 오묘함 속에서 교차하는 다양
                     이는 구성원을 어떻게 하면 조직에 스며              성과 존중이 사람다움을 바로 세우는 것
                     들어 성장하게 할 수 있을지 고민하면               이다. 그런 만큼 김진해 교수가 앞으로
                     심리적 안전감 속 긍정적인 변화가 일               도 ‘평어수업’을 통해 전문성과 사람다움
                     어나지 않을까요.”라고 답했다. 모든 인             을 고루 갖춘 인재들을 ‘말’로써 길러주
                     간은 각자의 문화적 배경이 있는 만큼               길 응원한다.


                                                                            JUNE HRD  37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