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27
일하기 좋은 곳에서 최고의 성과가 만들어지는 법이다.
따라서 AI 중심으로 일터가 변화하고 있다면
이런 현실을 마음속 깊은 곳에서부터 받아들이고
그에 적합한 HRD 전략과 계획을 수립해서 실행해야 한다.
하는 사람들의 원활한 업무수행을 돕기 중요성과 필요성 등을 두루 인식하며 지
위해 더 많은 것을 이해하고 맞춤형 지 속가능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해
원을 해줄 것으로 해석되며, 앞으로 일 야 한다. 또한, 기술적 시스템 변화에 따
하는 방식에 AI가 도입되는 것은 결코 른 사회적 시스템 변화도 깊이 고려하며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는 현실을 보여준 문화와 풍토 기반 조직의 변화관리를 지
다. 특히 기업들이 앞을 다투며 기존의 원하는 활동과 같이 조직개발 측면에서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인 데이터 입력, 의 미래 전략과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문서 정리, 이메일 자동 분류 등을 자동 무엇보다 HR/HRD 담당자들은 일하는
화하고 있는 모습은 앞으로의 일터가 과 방식의 근본적 변화를 주시하며 업무를
거의 ‘하드워킹’에서 벗어나 협업, 소통, 수행해야 한다. AI 도입이라는 기술적
분석, 사고의 고도화를 통한 ‘스마트워 으로 눈에 보이는 이슈를 넘어서 인사제
킹’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짚어준 도 및 교육훈련과 업무 프로세스를 회사
다. 여기에 더해 AI 기반 예측과 의사결 의 특성과 시대상 변화에 맞게 발전시켜
정 지원은 지적노동의 생산성 향상을 통 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시작점은 ‘AI
한 기업의 혁신을 돕고 있다. 따라서 기 를 중심으로 일터가 변화하고 있구나’라
업은 AI 기술의 발전과 변화에 유연하게 는 깨달음과 이것을 마음속 깊은 곳에서
대응하고, 앞으로 어떤 과제를 설정해서 부터 받아들이는 태도다. 기업은 성과를
해답을 도출해야 하는지 통찰해야 한다. 내야 하는 곳이고 이를 위해 과거부터
기업의 미래 방향성에 맞춰 HR/HRD 지금까지 작든 크든 일하고 학습하는 방
부서는 구성원의 전략적 사고력 개발, 식은 항상 변화해왔고 앞으로도 변화할
동료들과 적절하게 소통하며 시너지를 것이기 때문이다. 생산성의 시작점은 생
발휘하는 태도, 리스킬링과 업스킬링의 각과 태도다.
JUNE HRD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