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19

혁신적 기술이 공진화되어 일어나는 사
                     회변혁적인 현상이다. 기술의 목적은 인
                     간의 육체와 정신기능의 대체이다. 1차
                     와 2차 산업혁명이 에너지를 만들고 사
                     용하는 육체기능을 대체했다면, 3차와 4
                     차 산업혁명은 데이터를 받고 처리하는
                     인간의 정신기능을 대체한 것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은 인간의 인지처리능력을
                     AI가 대체한 인지혁명이라고 할 수 있
                     다. 모든 기술 자체는 가치 중립적이다.
                     인간이 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따
                     라서 위기가 되기도 하고 기회가 되기도
                     한다. 기술이 갖는 본질적 가치는 더 많
                     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 인
                     공지능은 앞으로 더 많은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낼 것이고, 그에 따라서 새로운
                     일자리도 생겨날 것이다. 인공지능이 사
                                                        ▲  엄준하 발행인(좌측)과 이형우 회장(우측)은 인재상, 뇌, 챗
                     람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인               GPT, 사람경영 등을 키워드로 심도 있는 대담을 나눴다.
                     공지능을 잘 아는 사람이 인공지능을 잘
                     모르는 사람을 대체하게 될 것이다.                씬 더 중요해질 것이다. HRD 담당자는
                     엄준하 회장: HRD의 ‘D’는 목적을 지향           누구보다 사람의 정체성에 대해 합리적
                     하며 사람을 포괄한다. 그런 만큼 ‘사람             으로 잘 알아야 한다. 농부가 어떤 씨앗
                     경영’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이 크다고 보             이 어떤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을지 알
                     인다.                                아야 농사를 더 잘 지을 수 있는 것처럼
                     이형우 회장: 마이다스는 사람중심의                말이다. 경영이 나아가야 할 길은 분명
                     HR경영을 하는 기업이다. HR경영은               하다. 사람에서부터 답을 찾아야 한다.
                     Recruitment(채용), Management(운영),   사람으로부터 시작해 사람의 육성을 목
                     Interaction(성과), Development(육성),   적으로 하고, 사람의 행복을 지향해야
                     Analysis(데이터 분석), Culture(문화),     한다. 사람의 정체성에 대한 과학적이고
                     Strategy(전략) 모두 7가지 영역으로 구         합리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모든 구성원
                     분된다. HR경영의 목적은 개인과 조직              이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현하며 행복
                     의 성과와 성장을 통한 행복인재의 육성              하게 성장하도록 돕는 것, 그것이 올바
                     이다. 자본중심 경영에서 인본중심 경영              른 미래를 만들어가는 HRD의 역할이고
                     으로 패러다임이 전환하면서 HRD는 훨              진정한 ‘사람경영’이라고 생각한다.


                                                                            JUNE HRD  17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