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9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149

과감히 리셋을 누를 용기       열릴 글로벌 HRD 컨퍼런스인 「ATD
                     2023」을 기대하며, 코로나19가 앞당긴
 HRDer의 마인드셋         HR 패러다임 변화를 주목해야 한다는

                     점을 전하고 있다.
                     특히 기사에서는 오프라인 교육장이나
                     연수원 등의 전통적인 교육 현장에서 벗
                     어나, 실질적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
                     는 워크플로우 러닝의 중요성과 이를 가
                     능케 하는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예시들
                     을 통해 접할 수 있었다. 소속된 부서가
                     사내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의 기획
                     과 실행을 맡고 있는 만큼 필자는 자연
                     스레 현재 진행하고 있는 온/오프라인
                     교육 프로세스를 되짚어볼 수 있었고 추
                                                        ▲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HRDer들에겐 기존 마인드셋을
                     후 이를 응용한 교육 세션을 기획할 때               과감히 바꿔보는 용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실감하고 있다.
                     ‘언제든, 적시에, 적합한 학습’을 제공해
                     가겠다는 방향성도 얻을 수 있었다.                한 개선의 차원을 넘어서야 한다는 점을
                     워크플로우 러닝이 교육 패러다임 변화               다시금 느꼈다. 앞으로의 가능성을 위해
                     를 이야기한다면 언러닝 마인드셋은 실               과감하게  ‘리셋’을 누를 수 있는 인지적
                     무자에게 중요한 소양이다. 언러닝은 지              여유가 생존의 열쇠가 되는 시대가 도래
                     난 2020년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포럼             했기 때문이다.
                     (Davos Forum)에서 리스킬링(Reskilling)   HRD 주니어인 까닭에 『월간HRD』 리
                     혁명이 거론된 이후 가끔 접했던 키워드              뷰를 준비하는 과정이 녹록지는 않았다.
                     임에도 불구하고 깊이 생각해본 적이 없              처음 기사를 받아 읽으면서도 ‘내가 가
                     었다. 그렇기에 언러닝이 이전의 경험적              진 얕은 시야로 리뷰를 작성해도 괜찮을
                     지식을 과감하게 버리는 ‘리셋’에서 시              까?’라는 의문이 계속 들었기 때문이다.
                     작한다는 것도 이번 기회를 통해 학습할              그러나 부족함을 알기에 틈이 날 때마다
                     수 있었다.                             기사를 다시 읽었고 관련한 이슈들을 스
                     ‘가만히 있으면 중간은 간다’라는 한국              스로 찾아보며 점점 더 직무에 대한 애
                     적 표현이 있듯, 필자를 포함해서 많은              정을 키울 수 있었다. 소중한 기회를 주
                     분에겐 새로운 도전보다는 경험적 지식               신 『월간HRD』에게 감사를 전하며, 사람
                     을 활용해서 업무를 진행하는 것이 보편              을 사랑하는 HRDer들에게 인사이트를
                     적으로 느껴질 것이다. 하지만 불안정한              주는 매거진으로 더욱 성장하길 응원하
                     경영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단순                며 글을 마친다.


                                                                           JUNE HRD  147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