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14
MESSAGE
태도 중심의 인적자원개발이
절실합니다
글_엄준하 『HRD』 발행인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삶의 의미와 가치,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에서 어떤 태도를 가
져야 할지 고민합니다. 우리는 자기정체성을 확립하고 오상五常을 실천하여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사회와 조직에서 더 나은 성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인간적인 가치와 본성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성공한 사람들을 관찰해보면 자기정체성을 일찍 확립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들은 부
유한 가정이나 특출한 능력을 가진 것과는 별개로 세계관, 인생관, 직업관, 가치관 등
이 뚜렷하게 정립된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자신의 가치와 목표를 알고, 이를 바탕으로
삶을 살아갑니다.
이웃 국가에서는 오래전부터 사회지도층을 위한 학교를 설립하여 국가관, 역사관, 민
족관, 직업관, 가치관의 재정립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가와 사회를 세워나
가는 교육의 역할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과 디지털 시대에서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기존의 지식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리스킬링과 업스킬링 활동의 중요성이 매우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에 앞서 올바른 태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태도는 성과의 방향성을 결정짓기 때문에 우리가 어떤 가치관을 가지느냐에 따라 결과
가 달라집니다. 인간의 태도는 자기정체성에서 발현되며, ‘나는 누구인가’, ‘나는 왜 사
는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질문에 답을 찾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세상의 이치와 생명, 사회의 어우러짐을 깨닫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인간 본성의 중심에는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으로 알려진 오상五常이 있습니다. 인은 동
정심과 사랑으로써 타인을 배려하고 정을 나누는 마음입니다. 의는 의로움과 부끄러움
으로써 불의에 부끄러워하고 옳은 것을 추구하는 마음입니다. 예는 예의와 사양으로
써 자신을 낮추고 겸손하며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입니다. 지는 지혜로써 옳고 그
름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신은 믿음으로써 거짓을 말하지 않고 진실한 것만을
12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