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7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127

김리은 대표는 대학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했고, PR회사에서 글로벌 고객사
                     를 대상으로 신문, 방송 등의 미디어 커
                     뮤니케이션을 도맡으며 커리어를 시작
                     했다. 그는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
                     기 위해, 철저하게 분석한 고객 니즈를
                     바탕으로 우리 기업이 갖고 있는 ‘강점자
                     원’을 매력적인 스토리로 풀어내는 일을
                     했다. 이때 그는 경쟁 우위를 찾아내 사
                     람들의 공감을 얻는 방법을 학습하게 됐
                     다. 이후 그는 삼성전자 한국총괄 유통
                     연수소에서 세일즈 프로를 교육하는 사
                     내강사로 활동을 이어갔다. 글을 통해
                     스토리를 부여하던 일이 말의 표현으로
                     전환된 것이다. 점차 경쟁력을 인정받으
                     며 그는 임원교육으로 영향력을 확장했
                     고 대규모 그룹 강의와 무대 경험을 통
                     해 강사로서의 역량을 길러갔다. 그는               ▲  김리은 대표는 조직이 성장하는 ‘이유있는 교육’을 추구한다.
                     한 발 더 성장하기 위해 국민대학교 경
                     영대학원에서 리더십과 코칭을 전공하                리더십, 코칭리더십 등 리더십을 세분화
                     며 열정을 갖고 학문에 정진함으로써 자              해서 역량을 강화하는 방법도 제시한다.
                     신만의 경쟁력을 정교하게 다듬었다. 이              현대 경영환경에서는 일터와 일에 대한
                     러한 경험과 학습의 과정을 통해 그는               가치관의 변화가 이뤄지고 있어 조직의
                     현재 소통과 리더십 강의를 주력으로 제              리더가 구성원을 이끌기 위해 과거와 같
                     공하고 있다.                            이 권위를 행사하는 시대는 지났다. 이
                     김리은  대표의  강의는  진단  기반  조           에 김리은 대표는 협업과 상생적 파트너
                     직 커뮤니케이션과 리더십을 다룬다.                십을 강조하며 코칭 스킬인 경청, 질문,
                     MBTI나 BIG5와 같은 도구를 활용한 조           인정/지지 등으로 심리적 안전감을 형성
                     직문화 개선 워크숍을 운영하며 개인의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성향과 특징을 바탕으로 조직 내 상호작              김리은 대표는 학습자들과의 ‘연결감’이
                     용을 개선한다. 특히 그는 세대 간 또는             일에서 느끼는 행복이라고 말한다. 적막
                     직급 간의 갈등을 일으키는 대화 패턴               한 강의장이 학습자들 저마다의 이야기
                     을 연구하고, 조직 내 건강한 소통을 위             로 활력을 띨 때, 학습자들은 경계를 풀
                     한 공감의 언어를 장려하고 있으며 셀프              고 새로운 시도의 필요성에 동의하며 변


                                                                           JUNE HRD  125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