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5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125
작하는 PBL은 조직의 규모와 학습 인프 마치 레고(Lego)의 핵심 부분처럼 가장
라에 상관없이 누구나 시도할 수 있는 주요한 뼈대를 만들고 필요에 따라 다른
뛰어난 접근성을 지녔다. 하나의 간단한 학습방법을 함께 조합할 수 있다. PBL
문제에서 출발해도 좋다. 해결할 가치가 이 다룰 수 있는 문제의 유형과 수준이
있고 관심을 가질 만한 주제라면 작은 워낙 다양하기 때문이다. 문제의 유형에
주제도 얼마든지 소규모 팀이 짧은 시 따라서는 의사결정(decision making), 전
간 동안 다룰 수도 있다. 반면 큰 문제와 략적 수행(strategic performance), 결함
이슈를 여러 팀이 모여 다양한 관점에서 해결(trouble shooting), 설계(design) 등
검토하기도 한다. 또한, 문제의 구조화 다양한 문제를 대상으로 한다. 일반적
정도에 따라 여러 유형의 문제를 제시하 인 사례 분석이나 시나리오 기반 학습,
는 것도 가능하며, 적용하는 맥락과 대 단회성 학습도 가능하지만, 학습조직이
상에 따라 같은 문제라도 달라진다. 그 나 액션러닝, 혹은 린 방법론이나 애자
만큼 문제의 개발과 상황에 따라 수준을 일 방법론을 적용한 실무적 문제해결 과
다양화하며 여러 대상에 적용할 수 있 정에도 PBL의 원리와 프로세스를 적절
다. 따라서 참여하는 학습자나 팀을 대 하게 활용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문
상으로 어떤 목표 수준의 문제를 제공할 제를 발견하고, 정의하고, 재구조화하
것인지가 관건이 된다. 교수자나 학습촉 는 방식에 디자인 씽킹을 적용하여 사회
진자는 학습자의 PBL 문제 인식 첫 단계 및 조직을 혁신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에
에서 문제의 표상과 재구조화 등에 도움 도 PBL이 자주 사용된다. 100가지 교육
을 주는 것이 좋다. 목표와 설계자의 의도가 있다면 100가
넷째, 방법적 측면에서 PBL은 다른 학습 지 문제와 방법이 존재할 수 있고, 학습
방법과 유연하게 결합할 수 있다. PBL은 자와 맥락에 따라 더 다양한 경험학습이
문제해결 원리가 가장 기본이다. 단지 가능한 것이 PBL을 매력적으로 보는 이
프로세스나 방법론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라고 할 수 있다.
윤선경 박사
한양대 IC-PBL교수학습센터 학습개발 총괄이며 사범대학 교육공학과에서 강의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산업교육학회 이사이며, 한국인력개발학회 『HRD학술총서 3·4권』, 『HRD연구방법가이드』 공동
집필과 한양대 원격기반미래교육연구 등에 참여했다. HRD와 대학 현장의 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강의,
연구, 실천적 활동을 수행 중이다.
JUNE HRD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