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4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124

PBL









                       PBL은 추구하는 목표가 뚜렷하며 원리와 프로세스가 명확하다.
                           그뿐 아니라 학습자, 학습 성과, HRD 담당자의 활용,
                         그리고 방법적 측면에서 뚜렷한 강점과 기대효과가 있다.
                      이렇게 다양한 경험학습을 할 수 있기에 PBL은 무척 매력적이다.











                 문제해결 과정(processing), 그리고 해결        복하고 지식과 기술 습득을 실무현장으
                 안 평가(evaluation)의 과정을 거친다. 문       로 매끄럽게 연결하는 효과성이 입증되
                 제해결능력은 일련의 절차에 따라 실제               면서 PBL은 학습과 관련된 여러 영역에
                 맥락 속 문제를 다루며 문제 정의 및 시             서 인기를 끌게 됐다.
                 행착오 경험과 통찰력을 얻으며 축적된               실무는 실제 맥락(context)을 담고 있어
                 다. 문제해결 전략과 절차에 익숙해짐               서 그 문제는 복잡할 수밖에 없다. 기존
                 으로써 다른 문제에도 능숙하게 창의적               지식을 그대로 적용하지 못하는 상황에
                 으로 도전할 수 있는 문제해결자가 되는              서 PBL은 관습적인 답이 아닌 맥락에 적
                 것이다. HRD에서 학습자들이 빠르게               합한 해결안을 도출한다. 이노센티브사
                 배우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 향              네트워크의 의뢰자(seeker)와 문제해결
                 상을 더욱 바라는 상황에서 PBL은 이러             자(solver)의 매칭을 통해 새로운 관점으
                 한 기대를 충족할 만하다.                     로 알래스카 엑손 발데즈호 기름유출사
                 또한, PBL의 결과로써 실제 문제해결              고를 처리하거나 P&G 면직 셔츠 구김
                 성과는 고무적이다. PBL은 의과대학 교             방지 해법을 찾아낸 사례가 대표적이다.
                 수인 Barrows가 현장에서 의과대생들             최근 국내에서는 기업과 사회기관이 문
                 이 실제의 문제해결에 능숙하지 않음을               제해결 과제를 제시하고 문제해결 기반
                 보고 제시한 방식이다. Barrows는 ‘문제          학습에 익숙한 대학에서 이를 다루며 높
                 (problem)’를 가장 앞 단계에 제시했다.         은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다.
                 의과대생들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셋째, HRD 담당자의 활용 측면에서
                 과정에서 비로소 지식 중심의 ‘학습을 위             PBL은 접근성과 활용 가능성이 높다.
                 한 학습’이 아닌 진짜 ‘문제해결능력’을             ‘문제(problem)’는 누구의 삶에든, 어느
                 체득하게 됐다. 포멀 러닝의 한계를 극              조직에든 존재한다. 따라서 문제에서 시


                 122  HRD MAGAZINE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