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9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119

제4단계는 ‘집단규범 설정’이다. 집단의             내의 커뮤니케이션도 보다 더욱 원활하
                     목표를 달성하려면 멤버들의 사고방식                게 이뤄진다.
                     이나 행동방식이 일치해야 한다. 이 단
                     계에서는 공통의 가치관과 그 의미에 대              감수성 훈련(ST)의 효과와 유의점
                     한 이해도를 확인하기 시작한다. 그런가              연구에 따르면 ST는 다섯 가지 효과가
                     하면 때로는 집단에서 형성된 규범이 대              있다. 첫째로 인간의 마음속, 특히 서로
                     단히 강력한 힘을 발휘해서 어떤 식으로              간의 인간관계가 점차 바람직한 방향으
                     든 이탈행위를 매우 곤란한 것으로 만들              로 ‘Dynamic(동태적)하게’ 변화되어 나
                     기도 한다.                             가는 것을 경험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
                     제5단계는 ‘우리들(We-Feeling) 의식意         둘째로 지금껏 막연하게 알고 있던 자신
                     識’이다. 목표가 설정되고 규범이 성립              의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이고 명백하게
                     되면 집단 내의 멤버들 사이에서 동료의              인지할 수 있으며 그간 깨닫지 못하고
                     식이 강화되고 단순한 친밀성보다도 더               있던 문제점도 파악할 수 있다. 셋째로
                     욱 강력한 ‘일체감’이 발생한다. 다른 집            ‘타인의 이야기를 공감각적으로 경청한
                     단과 ‘우리들’이라는 집단을 구별하기 시             다’, ‘상대방을 수용한다’는 것이 어떤 의
                     작하고, 여러 각도에서 대비도 해보는데              미인지 실감할 수 있다. 넷째로 상사, 부
                     이를 통해 연대감이 강화된다.                   하, 동료, 가족 등 주변 사람들과의 인간
                     제6단계는 ‘더욱 깊은 상호 이해로의 발             관계를 더욱 바람직하게 만들기 위한 계
                     전’이다. 여기에서 필요 이상으로 집단              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섯째로 인간으
                     내의 융화관계를 유지하고자 한다면 무               로서 풍요롭고 흡족한 것을 체험한 느낌
                     리하게 감정이나 의견을 강압하거나 다               과 ‘어떤 특별한 자아’를 얻게 된다. 물론
                     른 멤버의 감정과 의견을 압살하는 부자              유의해야 하는 부분도 있다. 개인의 체
                     연성과 그에 따른 불만이 생겨난다. 표              험인 만큼 업무현장에 적용하거나 일반
                     면적이고 피상적으로 융화를 유지하고                화하기 곤란할 때가 있으며, 프로그램이
                     자 하는 멤버와 그것에 의문을 갖는 멤              진행되는 기간이 긴 만큼 예산적으로 곤
                     버 간에 갈등이 생기는 것이다.                  란할 때가 있고, 아무래도 피드백 중심
                     제7단계는 ‘보다 깊은 상호 이해’다. 멤            이고 심리적 긴장감을 주는 만큼 두려움
                     버들은 이전 단계에서 발생한 갈등을 슬              을 느끼는 멤버가 있을 수 있다는 점 등
                     기롭게 극복하고 개인이 갖는 감정을 적              이다. 그러나 ST는 현재 기업교육에서
                     절하게 처리한 다음 상호 비판의 유효성              이뤄지는 체험학습 성격을 가진 프로그
                     을 인정하게 된다.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램의 밑바탕을 이룬다. 따라서 ST는 무
                     의견이나 감정의 차이를, 말 그대로 ‘차             엇인지 알아보며 과학적으로 검토할 필
                     이’로서 인식하며 상대방을 객관적으로,              요가 있다. 개인의 감수성은 생각과 행
                     냉정히 수용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집단              동 변용의 강력한 동인이다.


                                                                           JUNE HRD  117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