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9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109
‘10대 유망기술·산업’은 정부, 기업, 개인 모두에 중요하다.
정부와 기업들은 적극적인 비즈니스 모델 발굴과 투자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지도록 해야 하며,
개인들은 관심과 학습을 통해 유관 역량을 미리 갖춰놔야 한다.
인비행기기시스템 등) 등이 있다. 과정은 험난한 여정의 연속이라고 한다.
제20대 대통령 선거 당시 윤석열 대통령 정부와 기업 및 개인들은 ‘10대 미래유
은 공약이었던 ‘110대 국정과제’ 중 ‘우 망기술’에 관심을 기울이고, 이에 대한
주강국 도약 및 대한민국 우주시대 개막’ 연구 및 기술개발(R&D)과 투자를 확대
을 이행하기 위해 항공우주청 신설 방안 해야 한다. 정부는 10 T 분야에서 일자
을 제시했고, 당선 이후 제20대 대통령 리가 만들어지도록 기업들이 관련 비즈
직인수위원회는 “한국판 NASA인 항공 니스 모델을 발굴해서 투자하고 수익을
우주청을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정부 내도록 해야 한다. 개인들도 10 T에 대
는 우주항공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해서 한 관심을 기울이고 학습해야 한다. 장
우주항공기술을 주관하는 중앙행정기관 기적으로는 10 T 분야에서 국내를 넘
으로서 우주항공청 설립을 추진 중이다. 어 세계 시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정부는 올해 말에는 우주항공청이 업무 HRD 관계자들 역시 ‘10대 유망기술과
를 시작할 수 있도록 올해 상반기에 우 산업’을 파악한 다음 내용과 인사이트를
주항공청 특별법을 상정하고, 하반기에 잘 정리해서 소속된 조직에서 이뤄지는
는 직제와 시행규칙 등 하위법령을 마련 교육·HRD 활동에 담아내는 시도와 노
할 예정이다. 그러나 우주항공청 설립 력을 할 필요가 있다.
문형남 교수
숙명여대 경영전문대학원 AI융합비즈니스트랙 주임교수이며, 캐나다 캘거리대 경영대학원
교환교수로 연구년 중이다. 대한경영학회장을 역임했고, 지속가능과학회 공동회장, 한국AI교육협회장,
인공지능국민운동본부 공동의장, ESG메타버스발전연구원 원장/대표, 대한민국ESG메타버스포럼 의장
등으로 활동 중이다. ICT, AI, 챗GPT, 지속가능성, ESG, 미래학, 메타버스 등이 강의/연구/저술 주제다.
JUNE HRD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