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3 - 월간HRD 2023년 6월호
P. 103
AI TECH 2023
업무의 본질에 대한 이해, AI 리터러시 함양,
사람을 위해 주체적으로 AI를 활용하는 태도는
기업 경영에 테크놀로지의 영향력이 거세질수록
그 힘의 방향성을 바로잡아줄 사람의 경쟁력이다.
기조강연의 첫 주자로 나선 조성준 서울 위를 잘 분간하지 못한다.”라고 진단했
대 교수는 “AI는 인간 수준의 문제해결 다. 기본적인 설명을 마친 뒤 조성준 교
을 수행하는 똑똑한 컴퓨터이며 ‘분석형’ 수는 ‘비즈니스 가치 창출’로 화제를 돌
과 ‘생성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라고 설 렸다. 그에 따르면 AI는 비즈니스에서
명했다. ‘분석형’은 마케팅, 대출 심사, 소비자 파악, 설계오류 분류, 원자재 가
고장/가격 예측, 사기 검출 등에 활용되 격 예측, 품질/불량 예측, 제품의 컨셉과
며 ‘생성형’은 번역, 문서 요약, 보고서 이미지 개발, 프로모션, 시장/기술의 동
작성, 작곡, 작사, 디자인 이미지 생성 향 파악, 인사평가와 예측 등에 활용된
등에 효과적이다. 이어서 조성준 교수는 다. 다음으로 그는 AI를 활용하기 위한
AI는 크게 지식을 기반으로 ‘연역적’으로 Step을 ‘기획’, ‘데이터 확보 및 AI 개발/
추론하거나, 데이터를 기반으로 ‘귀납적’ 구매’, ‘AI 적용 전 평가’, ‘AI 적용/적용
으로 추론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고 말 후 평가’ 순으로 풀어냈다. ‘기획’은 현업
했다. 여기에서 조성준 교수는 “테크놀 실무자와 의사결정권자가 ‘어떤 업무에
로지가 발전하면서 그동안 인간이 쌓은 AI를 적용할까?’,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
지식을 수많은 데이터로 가공해서 추론 가? 필요하다면 어디에 있나?’, ‘AI 엔진
할 수 있게 됐기에 챗GPT와 같은 유용 은 자체 개발해야 하는가? 아니면 외부
한 도구가 만들어졌다.”라고 정리했다. 의 엔진을 구매해야 하는가?’ 등을 고려
동시에 그는 “생성형 AI는 축적된 ‘데이 하며 밑그림을 그리는 단계다. ‘데이터
터’를 바탕으로 기능하는 만큼 코로나19 확보 및 AI 개발/구매’는 전문가의 영역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렸을 때 영화관을 이며, ‘AI 적용 전 평가’와 ‘AI 적용/적용
찾는 관객수를 ‘0명’으로 예측한 것처럼 후 평가’는 현업 실무자와 의사결정권자
새로운 변수에 ‘철저하게’ 대응하지 못 의 과제다. 조성준 교수는 “소속된 기업
하고, 사람의 질문에 답변한 내용의 진 과 그곳에서 자신이 맡은 업무의 본질을
JUNE HRD 101